15일 밤 9시 방영되는 CCTV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에 시선 집중

한국내 사드 배치 문제로 중국의 반한 감정이 격해져 가고 있는 가운데 15일 중국 소비자의 날을 맞아 긴장감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특히 사드 부지를 제공한 롯데는 표적이 될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15일 중국 현지 시간으로 오후 9시 중국 CCTV는 재경 채널(CCTV2)을 통해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 3·15 완후이(晩會)를 방영할 예정이다. 이번 표적은 롯데 등 중국에 진출해 있는 우리나라 기업이 될 가능성이 높다. 중국 당국이 소비자 권익을 내세워 롯데에 대한 압박을 제기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중국은 소방법 등을 문제 삼아 중국 내 롯데마트 매장의 절반이 넘는 55개 매장에 영업정지 처분을 내렸다.

또 중국 내에서 사드 배치 부지를 제공한 롯데그룹에 대한 여론이 악화되고 있는 것을 의식한 만큼 정부 차원의 조치가 나올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롯데는 사드 부지 제공 결정 이후 롯데마트의 영업정지 조치가 이어져왔다. 3월8일 기준 롯데마트 점포 99개 중 55개가 중국 당국의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 소방기준을 어겼다는 명목이지만 전체 점포의 절반이 넘는 매장이 영업정지 처분을 받으면서 고의성을 배제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더욱이 영업정지 매장이 더 늘어나거나 장기화 될 경우 롯데에는 치명적이다.

그렇지 않아도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롯데쇼핑 중국 사업의 적자폭이 더 커질 전망이다.롯데마트를 운영하는 롯데쇼핑의 해외 적자 폭은 연간 2000억원대다. 대부분 중국법인에서 발생한 손실로 보인다. 여기에 지난해 롯데마트 중국 매출이 월평균 940억원인 것을 감안하면 한 달 영업정지로 발생하는 피해액만 500억원가량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여기에 중국인의 한국여행 금지도 롯데에는 타격이 크다. 당국은 15일을 기해 한국 단체 관광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렸다. 중국 국가여행국은 지난 2일 각 여행사에 지침을 내려 한국으로 가는 단체관광 상품, 인센티브 관광 상품, 크루즈 여행 상품에 모두에 대해 금지조치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면세점의 경우 국내 면세점 시장 점유율이 50%에 육박하는 만큼 중국 여행금지 조치의 피해가 고스란히 전해질 전망이다. 매출 측면에서도 중국인 관광객의 소비가 70~80%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객단가 역시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50~60만원대를 넘어선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15일 이전까지는 고객이 눈에 띄게 줄지 않았지만 정부 금지령을 뚫고 15일 이후에도 중국인들이 한국을 찾을지 걱정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롯데의 중국 사업 철수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롯데쇼핑의 장기 성장성은 중국 사업이 없더라도 인도네시아,베트남 사업으로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2016 년을 기점으로 인도네시아,베트남의 할인점 매출이 중국 할인점 매출을 추월하기도 했다.

지난 주 한국의 탄핵 인용 결정 이후 반롯데운동 혹은 롯데 불매운동 등을 외치던 웨이보 등 온라인상에서 자제하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는 점에 기대를 걸어 볼 수 있다. 또 올해 315 완후이 주제 예고를 보면 '인터넷이 믿을 만하면 소비자는 걱정이 없다(网络诚信消费无忧)'는 테마로 진행될 예정으로 롯데가 거론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롯데관계자는 “15일 방송을 비롯해서 중국 내 여론이 좀 더 잠잠해 지기전에 섣불리 대응책을 벌이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중국사업 철수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15일 중국 소비자의 날을 맞아 긴장감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특히 사드 부지를 제공한 롯데가 표적이 될까 우려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