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개발, 대형보다 소형이 주류…아파텔·도시형 생활주택 공급 확대

1~2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도시 및 주거 풍경도 변화하고 있다. 일례로 대규모 도시개발 사업 면적이 줄어들고 있다. 상가, 주택 미분양 발생 우려로 도시개발 규모가 축소되는 상황이다. 아울러 소형 가구를 겨냥한 주거문화도 도입되고 있다. 아파텔, 도시형생활주택이 대표적이다. 아울러 지자체, 정치권, 건설업계의 소형 가구를 겨냥한 행보가 이어지고 있다.

10일 통계청에 따르면 1~2인 가구수는 지난 2015년 기준1019만7258가구로 나타났다. 이는 5년 전인 지난 2010년(834만7217가구) 대비 22.16% 증가한 수치다. 아울러 지난 2000년(495만4981가구)과 비교하면 105.8% 증가했다. 이는 국내 전체 가구수(1911만1030가구)의 절반에 이르는 수치다. 

이같은 소형 가구화에 맞춰 도시 문화 자체가 달라지고 있다. 대형 개발이 아닌 소형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다.

도시개발구역 지정 연도별 추이 / 자료=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3년 간 도시개발구역 평균 지정면적은 2014년 32만4000㎡, 2015년 23만8000㎡, 2016년 19만9000㎡로 나날이 감소하는 추세다. 신규 지정건수가 같은 기간 증가(2014년 23건, 2015년 30건, 2016년 31건)한  것과 대조되는 수치다. 

도시개발구역은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부 정책이다. 개발구역 내 주거‧상업‧산업 등의 기능을 갖춘 단지‧시가지 조성 사업이다. 대체로 민간은 대형 개발을 통한 높은 수익을 노린다. 하지만 최근 인구감소, 1~2인 가구 증가로 개발구역 내 미분양 증가 우려로 소형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개발구역 면적이 감소하는 상황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최근 인구감소, 핵가족화 등으로 1~2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지역별로 사회적 인구 증가요인이 대체로 감소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도시개발구역 신규 지정면적도 줄어드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다시 소규모 주거문화로 이어진다. 사회적 요인(소형가구 증가)으로 대규모 주택단지 분양 시 미분양 물량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파텔(Apartel)이 대표적이다. 주거용 오피스텔로 소형 아파트 대비 저렴한 매매가가 특징이다. 지난 2013년 정부가 서민용 주택 공급을 늘린다는 목적으로 전용면적 85㎡ 이하 오피스텔 규제를 완화하면서 등장했다. 1~2인 가구 입장에서 아파트보다 더 저렴하게 주거환경을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시형생활주택도 소형 가구화에 맞춰 공급이 확대되고 있다. 도시형생활주택은 지난 2009년 이명박 정부 당시 1~2인가구 서민 주거 안정을 목적으로 도입됐다. 서울시는 도시형생활주택 300가구를 10일부터 서울주택도시보증공사를 통해 매입 및 입주자 접수를 진행한다. 

한 지역 개발업자는 “도시형생활주택 난립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종종 대두된다. 하지만 여전히 이 주택에 대한 개발수요는 높은 상황”이라며 “인허가권을 지닌 지자체에서 설립요건을 강화하면서도 공급을 장려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지난 1월24일 서울 올림픽 공원 올림픽홀에서 열린 바른정당 중앙당 창당 대회에서 김현아 당시 새누리당 의원이 무대로 나와 당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 사진= 뉴스1
정치권에서도 1~2인 가구 확대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김현아 자유한국당 의원실 관계자는 “최근 1~2인 가구가 증가하는 추세다. 다만 이들이 거주하는 원룸 등의 통계가 제대로 잡히지 않고 있다”며 “이를 위한 통계 시스템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김현아 의원은 지난해 11월14일 ‘부동산 서비스산업 진흥법’을 대표발의한 바 있다. 

1~2인 가구를 겨냥한 대권주자의 발표도 있다. 천정배 국민의당 전 대표는 지난 7일 ‘주거 정의 실현과 주거불안 해소를 위한 5대 비전’을 발표해 공공원룸 등 1~2인 가구를 위한 맞춤형 공공주택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도시, 주거문화가 1~2인 가구에 맞춰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며 “인구구조 변화로 이같은 변화가 더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