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면세사업 타격에 호텔롯데 상장 먹구름…지주사 체제 구축도 혼선 불가피

중국의 사드 보복이 장기화될 경우 중국 비중이 높은 롯데는 큰 타격이 예상된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 사진=롯데그룹
한반도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보복이 노골화되면서 롯데그룹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실적에 미치는 악영항뿐아니라 신동빈 회장의 뉴롯데 구상에도 큰 차질을 빚게 될 전망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대규모 조직개편과 인사개편을 단행한 지 일주일 만에 롯데는 또다시 난항을 겪고 있다. 사드 부지 제공으로 중국의 경제 보복 태풍을 정면에서 맞닥 트리게 됐다. 여러차례 좌초된 호텔롯데 상장은 또 다시 장애물을 만났고 중국에 진출한 유통·식품 사업 전반이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

신동빈 롯데그룹회장은 이달 1일자로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지주회사 전환의 사전 단계를 다졌다. 그룹내 핵심 조직인 정책본부를 경영혁신실과 컴플라이언스위원회로 축소 개편했다. BU는 유통, 화학, 식품, 호텔 및 기타 등 4개 분야 계열사들의 협의체를 구성했다. 다양한 지배구조 개선 시나리오 가운데 호텔롯데의 상장이 속도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한반도 사드 배치로 관광 면세 산업이 반토막 날 위기에 놓이면서 또다시 호텔롯데의 상장시기를 가늠하기가 어려워졌다. 중국의 한국관광 상품 규제 조치로 호텔롯데의 핵심 사업인 면세사업의 앞날이 불투명해진 상태다.

호텔롯데의 핵심 사업 중 하나인 면세점 사업이 직격탄을 맞으면서 호텔롯데 가치 하락과 상장 차질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업계에서는 이번 사드배치에 대한 보복 조치로 한국 면세점이 연 8조6000억원의 유커 매출 가운데 절반인 무려 4조3000억 원을 잃을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당초 롯데그룹이 호텔롯데를 상장한 뒤 이를 중심으로 지주사체제를 구축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압수수색과 특검까지 이어지면서 호텔롯데의 상장 준비가 전면 중지됐다.

이에 기존에 상장된 식품, 제과 계열사를 중심으로 구조개편을 꾀하겠다는 전략이었지만 중국의 경제 보복은 해당 사업에도 이어지고 있다. 중국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 검험검역국은 최근 한국에서 수입된 롯데의 요구르트 맛 사탕에서 금지된 첨가제가 적발해 소각 조치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 롯데마트 매장 몇 곳에 대한 영업정지 처분까지 내리는 등 압박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국 랴오닝성과 저장성에 있는 롯데마트 매장 3곳이 영업정지 처분을 받고 영업을 중단했다. 공안소방당국이 소방점검을 벌인 결과 소방 시설이 부적합하다고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롯데그룹은 5일 오후 황각규 사장 주재로 중국 사업 대책회의를 열고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정부가 적극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성주골프장 사드부지 제공이 국가안보 요청에 따른 것일 뿐 개별 기업인 롯데가 주도할 사안이 아니라는 점을 외교채널을 통해 충분히 설명해달라는 취지다. 그럼에도 외교부를 비롯한 정부 관련부처는 "중국과 빠른 시일내에 공감대를 형성할 것"이라는 말만 반복할 뿐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개별 기업 차원에서 대응해 나갈 수 있는 성격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정부에서 적절한 조치를 내놓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애써 담담한 표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