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서고속철 비리적발로 9월까지 참가자격 제한…올 실적에도 악영향 불가피

 

공공공사 입찰잔치에도 GS·두산건설이 웃지 못하고 있다. / 사진= 조현경 디자이너

공공 공사 입찰 잔치가 벌어지고 있음에도 GS두산 건설은 침울한 표정이다. 철도시설공단 임직원과 부당거래 현황이 적발돼 모든 관급공사 참여기회가 6개월간 정지됐기 때문이다. 올 들어 30조원의 공공시설 입찰, 7년새 최대 규모의 기술형 입찰시장에서 두 건설사는 손가락만 빨처지다.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축소, 민간주택 시장 경기 하강에 대비한 건설사들의 행보에 두 건설사가 뒤쳐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2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GS건설과 두산건설, 평화엔지니어링, 케이알티씨 등 4개 업체는 다음달 2일부터 91일까지 6개월간 국내 관급공사 입찰 참가자격이 제한된다. 앞서 국무조정실 산하 부패척결추진단은 국책사업 공사에서 두 건설사가 발주처 등을 속여 공사비 수백억원을 챙긴 혐의를 포착해 검찰수사를 의뢰한 바 있다.

 

검찰수사 결과 네 건설사가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발주한 수서고속철도 공사과정에서 공단 임직원에게 금품과 향응을 제공한 사실이 적발됐다. 이에 한국철도시설공단은 네 건설사가 공단 발주공사에 참여하지 못하게 입찰참가자격을 제한하는 행정조치를 시행했다.

 

철도시설공단 관계자는 비리로 적발되는 업체는 민현사상 책임을 묻는 등 가능한 모든 법적 수단을 동원해 엄정 대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행정조치 범위가 넓다는 것이다. 네 건설사는 철도시설공단은 물론 공기업준정부기관국가기관지자체가 발주하는 모든 계약에 대해 입찰 참가자격을 제한받는다.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76조에 의거한다.

 

대형 건설사인 GS건설과 두산건설에 큰 타격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 대형 공공공사 물량이 올해 몰렸기 때문이다.

 

28일 조달청에 따르면 올해 공공부문에서 발주할 공사는 총 304000억원 규모다. 이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수치다. 또한 올해 발주될 기술형 입찰도 설계심의가 총 11, 23310억원에 달한다. 기술형 입찰은 기술제안, 턴키(설계-시공 일괄)방식이 대표적이다. 일반 도급공사 대비 높은 수익을 보장한다. 공공기관 대규모 발주물량과 함께 대형 건설사들이 주목하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올해 SOC 예산 감축, 민간주택 시장 경기 악화가 예상된다. 이에 공공발주물량에 대형 건설사들의 주목도가 높다. 중소형 건설사보다 아무래도 대형 건설사가 수주에 참여하기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번 공공공사 입찰전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은 GS건설과 두산건설의 실적에도 부정적인 요소다. 지난해 GS건설과 두산건설의 매출에서 관급공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4.73%, 13.1%에 달한다. 공공공사가 실적개선에 기여했다. 두 건설사의 수주잔고에서 공공공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2014년 각각 12.08%, 3.6%에서 지난해 3분기 12.74%, 7.43%로 높아진 결과다. 올해 각 건설사들이 수주목표를 하향 조정한 상황에서 공공공사 참여 제한은 두 건설사의 실적악화를 부를 수 있다.

 

GS건설 관계자는 당장 행정처분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과 행정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라며 입찰참가 제한에 따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