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살균제 교훈에도 PHMG 버젓이 불법 유통…기업 브랜드 믿었던 소비자들 분통
화학독성물질 사건이 끊임없이 발생하는 가운데 대기업이 제조나 판매에 관련된 것으로 밝혀져 빈축을 사고 있다.
환경부는 가습기살균제에 함유됐던 독성물질인 PHMG를 불법 판매한 기업 중에 대기업과 대기업 계열사 3곳이 포함됐다고 7일 발표했다.
PHMG는 인산염과 염화물 2가지 종류의 물질로 국내에서 유통되거나 사용되고 있다. 가습기살균제 피해를 유발한 인산염의 경우 2012년 9월부터 25%이상 혼합물일 경우 유독물질로 분류되기 시작했다.
이번에 적발된 무허가 제조업체 O사는 2013년 8월부터 인산염을 합성해 이를 25%로 희석한 제품 180톤을 판매총책 P사에 유통했다. O사는 전신이 대기업인 K화학회사 제품의 OEM(주문자 상표 부착생산)제조사 S사인 것로 알려졌다.
환경부 측은 “가습기살균제 사건의 교훈에도 PHMG를 버젓이 불법 유통시키고 있다. 일부 대기업조차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는 점에서 관련 업계가 국민안전을 도외시하고 있다”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중앙환경사범수사단과 협력해 유해화학물질 불법유통 실태를 면밀히 들여다 볼 것”이라고 밝혔다.
대기업의 화학물질제품 제조와 판매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최근 글로벌 생활용품 업체 P&G가 판매하는 기저귀 팸퍼스에선 발암물질로 알려진 다이옥신 등이 검출된 바 있다. 지난달에는 유한킴벌리의 하기스 물티슈와 그린핑거 물티슈에서 메탄올이 검출되어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이 우려를 나타냈다.
지난해 9월에는 아모레퍼시픽의 치약에서 가습기살균제 성분인 CMIT와 MIT 성분이 검출돼 논란이 됐고 아모레퍼시픽은 대대적인 환불조치를 진행했다.
대기업의 이름을 믿고 제품을 써오던 소비자들은 배신감에 기업들을 질타하고 있다. 아기용품으로 논란을 빚은 기업은 육아카페에서 강한 질타를 받고 있다. 이번 팸퍼스 기저귀 논란으로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은 P&G에 대한 배신감을 드러냈다. 유한킴벌리 사태 때도 부모들은 기저귀를 비롯한 유한킴벌리의 유아용품 품질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기업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논란을 빚은 기업 제품의 시장 점유율도 하락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치약사태 이후 치약시장에서 2위 자리를 애경에 넘겨줘야했다.
정부는 연이어 발생하는 화학제품 논란을 방지하기 위해 지난해 위해도가 높은 생활화학제품은 즉각 퇴출 조치하고 제품에 대한 안전관리 대책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기업의 위해우려제품의 전성분 제출을 의무화하고 제품 포장에 유해성 표시를 세분화하는 제도도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