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행, 수사 연장 거부 낮게 점쳐…특검, 기업 수사 확대 의지 여전
‘최순실 게이트’ 특검이 사실상 수사연장 방침을 공식 선언했다. 정치권 등 일각에선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특검을 거부할 가능성을 우려하지만, 청와대 못지 않게 특검의 칼날 위에 놓인채 좌불안석하는 재계 일각에서는 연장 가능성에 더 무게를 두고 몸을 사리는 모습이다.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6일 수사 연장 가능성에 대해 처음으로 언급했다. 이규철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수사 기간 연장신청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원래 특검의 1차 수사 기간은 오는 28일까지이나 대통령이 승인하면 30일 연장이 가능하다. 대통령 직무가 정지된 현재는 황교안 권한대행이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정치권에선 벌써부터 황교안 권한대행이 승인을 거부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박범계 의원은 7일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황교안 권한대행이 특검연장을 쉽게 승낙하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하지만 이 같은 분석과 달리 황교안 권한대행이 연장 수사를 승인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만만치 않다. 한 사정기관 관계자는 “수사가 한창 물이 오르는 상황에 황교안 권한대행이 수사 연장을 거부할 것이란 판단은 섣부른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압수수색은 막았지만 특검 수사와 관련해선 다른 결정이 나올 수 있다는 분석이다.
재계에선 이 같은 가능성을 더 높게 보고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 특검 수사대상 대기업 한 핵심 관계자는 “황교안 권한대행이 대권 후보로까지 거론되는 상황에 특검 수사 연장을 반대해 역풍을 맞으려 하지 않으려 할 것으로 보고 대비하고 있다”며 “수사가 빨리 마무리 돼야 하는데 걱정”이라고 밝혔다.
만약 수사가 연장되지 않으면 삼성 외 다른 대기업들은 자연스레 위기를 모면할 수 있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특검의 재계 수사는 삼성 뇌물죄 규명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그 과정에 이재용 삼성 부회장의 구속영장이 기각되면서 영장 재청구를 위해 더욱 삼성에 수사가 집중됐다.
특검은 삼성 외 기업에 대해서도 끝까지 수사해 혐의를 밝히겠다는 계획이다. 재계 우려대로 수사가 연장된다면 특검은 현재 거론되는 CJ와 SK의 총수 사면 문제, 롯데의 면세점 문제를 특히 집중적으로 들여다 볼 것으로 보인다.
반면 총수가 사면되지 못한 한화 등 상대적으로 정권의 수혜를 덜 입은 것으로 보이는 기업들에 대해서까지 수사가 미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가장 큰 숙제인 대통령 관련 수사가 남아있고 우병우 전 수석에 대한 수사는 이제 막 시작됐기 때문에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런 곳들 역시 수사연장을 염두에 두고 비상태세를 유지하며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수사대상 기업 중 비교적 주목을 덜 받는 기업의 한 관계자는 “수사가 끝나기 전까지는 대외적으로 튀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수사가 끝나야 경영 상태가 완전 정상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