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상선 보유 사선 24척 중 일부 매입…저렴한 용선료 등으로 유동성 지원
다음달부터 본격 운영에 돌입하는 한국선박회사는 지난해 10월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 등 정부기관이 진행한 제6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제시됐다. 회사는 총 자본금 1조원으로 출발한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90%, 한국자산관리공사가 10%를 출자한다. 초대 대표이사는 나성대 전 산업은행 심사평가부문장이다.
한국선박회사는 국적해운사가 가진 선박을 시장 거래가로 인수한 후 해당 선사에 용선(傭船) 형태로 다시 빌려주는 역할을 한다. 선박은 시장가격이 장부가격보다 훨씬 낮다. 따라서 선박회사는 시장가와 장부가 간 차액을 유상증자나 영구채 매입 등으로 해당 선사에 지원한다.
이를 통해 재무구조가 취약한 중소조선사는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국선박회사의 구매가 사실상 해운사 지원이 되는 셈이다. 이는 몇 년간 장기화되고 있는 해운시장 침체에 따른 해결 방안으로 정부가 제시한 방안이다.
24일 나 사장은 "현대상선 등 국내 해운산업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겠다"며 "선박인수 후 용선, 유상증자, 전환사채(CB·발행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특약이 있는 사채) 발행 등 크게 3가지 방법으로 현대상선 등 국내 해운산업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선박회사는 선박 신조 프로그램을 통해 현대상선 사선을 매입한다. 빠르면 다음달부터 선박매입이 시작될 것으로 관측된다. 현대상선은 현재 63척 컨테이너선과 24척 사선을 운영중이다. 한국선박해양이 24척의 사선 중 일부를 매입하고, 현대상선은 한국선박회사로부터 다시 선박을 용선한다.
한국선박회사는 현대상선 자본확충을 위한 주요 수단이 될 전망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로 열린 2017년 업무보고에서 “조선해운업 구조조정을 지속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현대상선에 대한 자본확충이 진행될 것”이라면서 “유상증자 방식을 통한 자본확충이 가장 유력하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지난 20일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부산항만공사를 방문해 1조원으로 한국선박회사를 운영하기엔 부족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문 전 대표는 위기의 해운 물류 사업 부활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하면서, 한국선박회사와 해양금융공사를 합쳐 자본금 4~5조원의 가칭 한국해양선박금융공사를 설립해야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선박회사는 향후 직원 수와 자본금을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