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영주 KEB하나은행장, 40대 젊은 팀장 지점장 전격 발탁하기도
함영주 KEB하나은행장이 은행권 최초로 퇴직지점장을 다시 채용하는 등 실험적 인사를 단행했다.
KEB하나은행은 19일 1199명의 직원 인사를 단행하고 퇴직한 성과 우수지점장 4명을 재 채용했다고 밝혔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재 채용된 전직 지점장들에게는 현직 지점장에게 적용되던 약 15% 성과급 비율을 50%이상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재 채용 비율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퇴직지점장 중 성과우수자는 임원으로도 승진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퇴직 지점장 재 채용은 기존 인사제도 틀을 벗어난 파격 행보다. 재 채용을 통해 현직 지점장 앞 동기부여와 조직에 대한 긴장감을 불어 넣을 것으로 보인다.
하나은행은 40대 젊은 지점장으로 대거 발탁해 젊은 조직으로 분위기 쇄신을 시도했다. 새롭게 보임된 지점장 58명 중 40대 지점장이 24명으로 약 41%를 차지한다. 전체 신임지점장 58명 중 여성 지점장이 9명(약 15%)에 달한다.
이번 상반기 중 본부 인력을 150명 감축하는 등 2015년 9월 통합 이후 약 700명의 본점 인력을 영업점으로 이동 배치해 영업인력을 늘렸다. 상반기 221명 교차발령을 포함해 지난 6월 전산통합 후 누적기준 2365명(52%) 교차발령을 통해 직원간 화학적 통합을 도모했다.
영업점간 협업 강화 및 시너지 극대화를 위한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 도입에 따라 시니어 지점장인 허브 영업점장 에게 하위 스포크 영업점 직원의 인사권을 부여하는 등 현장 영업강화에 주력했다. 영업본부장에게는 인사, 예산 및 영업추진의 전권을 부여하는 자율(책임)경영제를 확립해 지역밀착 영업기반을 확대할 방침이다.
허브 앤 스포크 모델은 전문성을 갖춘 직원들의 교차상담 및 공동영업을 의미한다. 하나은행이 다른은행에 이어 허브 앤 스포크 모델을 도입한 것은 영업 효율화 일환이라는 분석이다. 허브 앤 스포크는 결국 점포 축소로 가는 단계로 보인다.
하나은행은 전 직원 대상 본부 부서 공모를 실시해 전문성 있는 인재 발굴에도 힘썼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능력과 성과중심 인사문화, 변화 조직 문화 확립이라는 함영주 행장의 인사철학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