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구속영장 기각...3세 경영 평판 망치는 최악 사태 면해

구속영장이 기각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9일 오전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귀가하고 있다. / 사진=뉴스1

19일 법원이 삼성 이재용 부회장에 대한 특검의 구속영장 청구를 기각함에 따라 이재용 부회장의 3세 리더십이 최악의 사태를 피했다. 그럼에도 이번 영장 기각 결정이 헌법재판소에서 진행되고 있는 탄핵심판 과정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나타나 청와대는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게 됐다.

 

이명박, 박근혜 정부 들어 재벌 총수가 구속 수감된 사례는 여러 번 있었다. SK 최태원 회장과 한화 김승연 회장, CJ 이재현 회장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총수가 이끌던 기업은 일시적 주가 하락 외에 큰 위기를 겪지 않았다. 최태원 회장이 수감된 당시에도 SK하이닉스가 메모리 반도체 가격 조정과 호황기를 겪으면서 그룹을 견인했다.

 

그러나 삼성에선 이재용 부회장이 등기이사로 선임되는 등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경영 일선에 나서고 있었다. 게다가 삼성전자는 갤럭시 노트7 발화 사건을 겪은 이후 과거를 청산하는 대대적 혁신을 예고한 바 있다. 2일 열린 시무식에서 권오현 부회장은 완벽한 쇄신을 이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업계에선 삼성이 이재용 부회장을 중심으로 3세대 경영으로 이동하겠다는 강한 메시지를 시장에 준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실제로 이 부회장은 모든 계열사가 1등을 해야 한다는 이건희 회장의 경영 방침과 달리 선택과 집중이라는 기치를 바탕으로 인수합병(M&A) 전략에 나서고 있다.

 

그는 인공지능 플랫폼 개발사인 비브랩스나 IoT(사물인터넷) 솔루션 기업 스마트싱스는 물론 최근에는 음향 등 전장 솔루션 강자인 하만 인터내셔널 인수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의사결정에 있어 투명함과 자율성을 강조하는 젊은 리더십으로 주목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아킬레스건인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등 경영권 승계 전략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청와대와 정권 실세에 뇌물을 공여했다는 혐의가 불거지자 이런 이미지는 타격을 받을 위기에 쳐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특검의 이번 결정으로 삼성을 더 투명하고 주주 친화적으로 만들겠다는 이 부회장의 약속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아버지인 이건희 회장이 구시대적이라고 알려진 반면, 이 부회장은 삼성에 의해 실리콘 밸리와 이사회에서 모두 편안함을 느끼면서도 배타적인 사업방식을 개방하고 소비가전 혁신에 대한 삼성의 명성을 강화할 수 있는 리더로 그려졌다면서 구속영장이 발부될 시 이런 이미지가 즉시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구속영장이 기각되면서 삼성은 위기를 넘기고 특검과 본격적인 법리 다툼에 들어가게 됐다. 법원은 특검의 구속영장 청구에 대해 혐의 내용에 대한 소명이 부족했다고 밝혔다. 이 부회장은 특검 조사와 영장실질심사에서 뇌물 공여 혐의에 대해 사실 상 강요를 받아 어쩔 수 없었다고 해명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회장 구속수사는 대통령이 실세 지원에 직접 개입했다는 혐의를 증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럼에도 이번 영장 기각이 헌법재판소에서 진행 중인 대통령 탄핵 심판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박한철 헌법재판소장은 103차 변론기일 당시 시간부족 사유로 입증 지연이 없도록 양측 대리인이 유념해 달라면서 대통령 측 대리인이 증거 제시를 미루며 시간 끌기 하는 것에 대해 경고하기도 했다.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결정을 하게 되면 인사농단과 뇌물수수 등 각종 혐의에 대한 수사의 칼날은 박근혜 대통령을 직접 향하게 된다. 헌법 재판소는 197차 변론기일을 열고 정호성 전 청와대 비서관을 증인으로 소환하고 정권실세로 알려진 최순실 씨에게 정부 비밀문서가 넘어간 과정에 박 대통령이 개입했는지 여부를 심리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