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예비전력 급감할 만큼 전력 사용량 급증… 땅값 안 들고 토목 공사 없어 경제적

  

12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누리마루 APEC 하우스 2층에서 열린 '2017년도 조선해양인 신년인사회-조선해양산업 위기 극복과 재도약 결의 대회'에서 박대영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경제성장으로 방글라데시,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전력 수요가 늘고 있다. 늘어난 전력 수요를 충족시킬 방법으로 부유식 발전설비(FSPP)와 부유식 발전플랜트(BMPP)가 주목받고 있다. FSPP와 BMPP는 바다 위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차세대 발전 기술이다. 정부는 조선업 위기 타개책으로 FSPP와 BMPP를 통한 해상 발전 발주 증가를 기대하고 있다. 


FSPP는 LNG(액화천연가스) 운반선 등 부유식 구조물 위에 복합화력발전소, LNG 저장·재기화 설비를 구축하는 차세대 플랜트 기술이다. 땅 위에 발전소보다 제작기간이 짧다. 토지 사용비나 토목공사가 불필요해 경제적이다. 

동남아시아 주요 5개국은 올해 평균 4.4%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 2010년 이래 동남아 국가들은 평균 경제성장률 6~7%를 보였다. 세계 경기 침체 기조 속에서도 꿋꿋하게 성장한 것이다. 동남아 국가 내 공장 신설도 늘고 있다. GS 그룹, CJ제일제당, 포스코 등 국내 기업들은 동남아에 대규모 공장 증설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공장을 돌리려면 전기가 필요하다. 공장이 늘어나니 필요한 전기도 증가한다. 동남아 국가들은 ‘바다의 나라’다. ‘다도(多島)의 나라’기도하다. 지리적 특성을 이용해 바다를 무대로 한 발전 설비의 새 장(場)으로 각광받는 이유다. 대우조선해양은 LNG FSPP 기술 개발에 한창이다. 전력 수요가 늘고, 섬으로 이루어져 전력망 연결이 어려운 동남아시아의 FSPP 수요가 많을 것이란 전망에서다.

코트라(KOTRA)는 동남아의 빠른 경제발전과 다양한 산업 인프라 개발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 5년간 동남아 예비전력은 급감하고 있다. 이는 전력 소비가 늘었다는 걸 뜻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말레이시아는 대형 발전 플랜트 건설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한국 기업은 동남아 발전 플랜트 건설 분야에 EPC(설계 Engineering ·공사 Procurement ·시공 Construction)기업으로 참여도 한다. 덕분에 동남아 내 한국 발전 기업과 장비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다. 

지난해 12월 대우조선해양과 한국전력기술은 FSPP 기술 개발을 위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향후 늘어날 발주에 대한 대비책으로 풀이된다. 김진대 대우조선 해양설계담당 상무는 “LNG FSPP는 지금까지 대우조선이 개발해온 LNG 화물창 기술의 경쟁력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라며 “대우조선의 조선·해양 부문 노하우와 한국전력기술의 발전소 설계·시공 능력이 결합돼 큰 시너지를 발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국전력기술 관계자는 “현재 연구 중인 FSPP는 LNG 운반선 위에 발전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대형 조선소 LNG 운반선은 국제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시장 선점과 개발에 유리하다”라며 “현재 동남아에도 바지선(화물을 운반하는 소형 선박) 위에 발전 설비를 설치한 건 많이 있다. 이 시장을 개척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발주처를 찾는 게 문제다. 발주처로부터 계약을 수주하는 게 관건이다. 아직 기술 개발 단계라 수주 건수가 적을 수밖에 없다. 새로운 개념의 발전소이기 때문에 새 시장을 개척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양종서 수출입은행 해외 연구소 연구위원은 “육상에다 플랜트·발전설비를 지으려면 땅값이 든다. 지반도 다져야 하고 토목 공사도 진행해야 하고 혹여 인근 주민이 공사 반대 데모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이유로 설비들을 해양으로 빼는 것이 요즘 추세”라며 “해양 설비 건설은 이러한 프로세스들이 빠져서 제작 기간이 단축된다. 땅에 한 번 발전소를 지으면 이동이 불가한데, 바다 위에 지으면 이동성이라는 장점도 생긴다. 해양설비는 이처럼 여러 가지 매력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