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패역할 장충기 본인이 수사대상 올라…특검, 뇌물공여에 횡령·배임 혐의까지 고려

최순실 일가에 대한 대가성 특혜지원 의혹 등을 받고 있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2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박영수 특별검사 사무실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고 있다. / 사진=뉴스1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를 수사 중인 특검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속여부를 결정할 막바지 순간으로 치닫고 있다. 특히 대외 업무의 컨트롤타워로 삼성의 방패역할을 했던 장충기 미래전략실 차장(사장) 본인이 위기에 처하며 이재용 부회장이 삼성에 불어 닥치는 풍파를 그대로 맞게 됐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12일 박영수 특검은 이재용 부회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이날 출석한 이재용 부회장은 몰려든 기자들에게 “죄송하고 송구하다”는 말을 남겼다. 특검은 이재용 부회장에게 뇌물 공여 외 횡령 및 배임 혐의까지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국회 최순실 국조특위까지 이재용 부회장을 위증혐의로 고발하면서 이재용 부회장은 역대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재계에선 이재용 부회장이 이 같은 상황까지 오게 된 것과 관련해 그룹의 방패역할을 하던 장충기 사장이 사건 당사자가 된 것이 큰 영향을 줬다고 분석하고 있다. 특검수사 대상 기업의 한 관계자는 “원래 장충기 사장이 대관업무 수장으로서 그룹의 방패 역할을 해야 하는데 그 방패가 수사대상이 돼 버렸다”며 “삼성은 오직 변호인단으로만 맞서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처음 특검 수사가 진행될 때만 해도 이재용 부회장이 기소 직전 위기까지 오게 될 가능성은 낮게 점쳐졌다. 검찰관계자조차 이재용 부회장 기소 가능성은 거의 없고 장충기 사장이나 최지성 부회장 선에서 수사가 마무리 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런데 수사가 진행될수록 이재용 부회장에게 불리한 정황들이 발견되기 시작했다. 특히 삼성 관계자 소환과정에서 이 부회장 지시가 있었다는 진술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재계에선 장충기 사장이 국정조사에 나오지 않은 것에 무게를 두고 있다. 만약 본인이 진정 모든 지시를 한 장본인이라고 밝힐 의사가 있었다면 해당 자리에 나와 밝혔을 것이고 그렇다면 이재용 부회장이 출석할 일은 없었을 것이란 분석이다.

한편 이재용 부회장이 피의자로 조사를 받은 것은 삼성전자 전무였던 9년 전 에버랜드 전환사채(CB) 저가 발행 등 경영권 불법 승계 의혹으로 조사를 받은 이후 2번째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