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는 말만 무성할뿐 매출 감소 없어…한국행 전세기 운항 불허 조치 등에 촉각

중국관광객들이 한국 면세점에서 화장품을 구경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지난해부터 지속된 중국의 사드배치 보복이 올해 한국행 전세기 운항 불허로까지 이어지며 화장품 업계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중국정부는 이번달부터 다음달까지 한국행 전세기의 운항을 불허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동남아 지역으로 향하는 전세기는 신설한 것으로 드러나 중국의 사드보복 조치가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온다.

이미 지난해부터 중국이 사드배치에 대한 보복을 하고 있다는 의견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중국은 한국 여행객 축소 구두지침과 한류 콘텐츠 제재 등을 실시해왔다.

지난해부터 화장품 업계에선 중국의 행동을 예의주시해왔다. 하지만 매출에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작년부터 보복 조치에 대한 소문이 많이 돌아서 그때마다 매출을 확인했지만 감소하는 경우는 없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도 아직까지 중국 소비자들이 한국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정치적 이슈로 한국 제품을 불매하진 않을 것이라고 분석한다. 김영옥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화장품은 브랜드를 판매하는 재화이며 여기에 내재된 K뷰티 경쟁력은 사드라는 정치적 이슈에 의해 단숨에 바뀔 기호현상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박종대 하나금융투자 연구원도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 화장품에 대한 높은 선호는 변함이 없다”며 “중국 내 브랜드 인지도만 떨어지지 않는다면 중국 사업에 대한 불안감은 기우”라고 말했다.

문제는 향후 중국의 경제 보복이 지금보다 더욱 강화될 경우다. 화장품 업계에선 이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한 화장품업계 관계자는 “중국은 말 한마디에 어떻게 정책이 바뀔지 모르는 나라라서 보복 조치 강화에 대한 걱정이 많다”고 밝혔다.

이미 증권사에선 올 화장품 업계의 성장률을 기존 추정치보다 낮게 전망하고 있다.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는 앞서 올 주요 5개 화장품 기업들의 합산 영업이익 성장률을 16%로 추정했지만 중국발 한국행 전세기 운항불허, 대중국 수출 증가율 둔화 등을 고려해 성장률을 12%로 낮춰 전망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향후 보복조치가 강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한다. 박승찬 용인대 중국학과 교수(중국경영연구소장)에 따르면 중국의 경제 보복은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3단계는 본격적인 중앙정부의 개입, 4단계는 대놓고 경제 보복을 가하며 직접적인 제재를 가하는 것이다. 박 교수는 “중국 현지에서 사람들을 만나보니 현재 보복 수위는 3.5단계에 진입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박 교수는 “향후 중국의 경제 보복 조치가 강해질 수 있으니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중국발 리스크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 교수는 “대형 화장품 기업들은 중국 여행사들과의 접촉횟수를 늘려 관광객들을 끌어 모으기 위한 시도를 해야 한다. 중소 화장품 기업들은 상해, 청도 등 주요 역직구 시범도시뿐만 아니라 중국 내륙의 역직구 시장을 뚫도록 노력해야한다. 또 빠르게 변화하는 중국의 제도를 공부하는 노력도 필수”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