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도 위축 조짐, 투자는 소폭 개선
한국개발연구원(KDI)은 5일 경제동향 1월호에서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됐고 건설수주 등 선행지표도 부진해 경기가 단기간에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11월 전산업 생산 증가율은 전월(1.9%)보다 높은 4.6%이었다. 이는 조업일수 증가와 자동차 업계 파업 종료 등 일시적 요인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11월 소매판매는 전년대비 3.2% 늘었지만 증가세는 둔화했다.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있어 앞으로 내수가 더 둔화할 우려가 크다.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95.8)보다 낮은 94.2까지 떨어졌다. 생활형편 전망, 향후 경기전망 등 미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전월에 이어 높은 수준을 나타낸 탓이다. 현재생활형편 등 현 상황에 대한 부정적 판단도 소폭 증가했다.
11월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분야의 개선으로 부진이 일부 완화됐다. 건설투자도 건설기성이 전월보다 25.9% 증가했다. 하지만 건설수주가 감소세로 돌아섰고 건축 허가·착공 면적도 부진을 지속하고 있어 전망은 밝지 않다.
지난달 수출은 전월(2.5%)보다 증가폭이 소폭 확대돼 6.4% 증가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도 2.5% 늘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그럼에도 회복세는 미약하다. KDI 관계자는 “10~11월 수출물량은 전년보다 0.1% 증가하는 데 그치는 등 여전히 회복세가 미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KDI가 부동산시장 전문가 100명을 상대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대다수 전문가는 지난 4분기 부동산시장을 보통으로 평가하며 향후에는 상황이 더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4분기 부동산시장 상황은 긍정적 응답(좋음·매우 좋음) 비중이 전 분기(36.0%)보다 크게 줄어든 17.6%에 그치는 등 부정적 인식이 더 커진 것으로 분석됐다. 향후 부동산시장을 나쁨으로 예상한 응답자 비중은 63.7%였으며 보통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31.4%였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부동산 매매가격이 소폭 하락하고 전세는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매매거래량과 분양 물량은 감소하는 반면 미분양 물량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