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 부사장에 박정림·전귀상·이동철 임명
KB금융지주와 KB국민은행이 28일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내년부터 금융그룹 시너지를 높이고 핵심 비즈니스 역량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조직 개편은 지주, 은행, 증권 등 계열사간 협업 강화가 핵심이다.
KB금융 관계자는 "KB금융그룹 차원에서 계열사 간 협업체계를 강화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며 "그룹 차원에서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자산관리(WM)와 CIB부문에서 지주, 은행, 증권 3체 겸직체제를 시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KB금융은 조직개편과 관련해 △지주, 은행, 증권 등 계열사간 협업을 통한 금융그룹 시너지 강화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상품·서비스 역량 제고 △미래 성장동력인 디지털금융과 신탁사업 강화에 방점을 두었다고 밝혔다.
특히 은행 자산관리그룹에 투자상품서비스(IPS) 본부를 KB증권과 대칭 형태로 신설했다. 이에 양사간 협업을 통해 고객에게 높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지주에서는 미래금융부 산하에 KB이노베이션 허브(Innovation Hub)조직을 뒀다. 핀테크 시장 전초기지를 구축했다는 게 KB금융지주 측 설명이다. 은행은 미래채널그룹에 스마트마케팅부와 스마트채널지원유닛을 신설했다. 비대면 마케팅과 디지털금융 경쟁력 확보에 주력할 예정이다.
특히 국민은행은 개인고객그룹을 고객전략그룹으로 재편하며 데이터분석부를 신설했다. 데이터분석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상품과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KB금융 관계자는 "지주, 은행, 카드, 손보까지 데이터 분석 조직을 구축해 데이터 중심의 경영을 한층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신탁본부를 신탁연금그룹으로 격상했다.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신탁 사업에서의 자산관리와 은퇴 노후시장의 성장을 준비하고 퇴직연금과 신탁사업 부문의 시너지 확보를 위해서다. 자금세탁방지 전담조직도 신설했다. 자금세탁방지에 대한 독립적이고 충실도 높은 관리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KB금융·은행 임원 인사도 단행, 박정림, 전귀상, 이동철 사장으로 승진
KB금융지주와 국민은행은 박정림 국민은행 여신그룹 부행장과 전귀상 CIB그룹 부행장을 KB금융지주 부사장으로 각각 신규 임명했다. 박 부행장과 전 부행장은 내년부터 기존 국민은행 부행장직과 통합 KB증권 부문장직을 함께 수행하게 됐다.
박 부사장은 영동여고와 서울대 경영학과, 서울대학원 경영학과를 나와 KB국민은행에서 제휴상품부장, WM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전 부사장은 동성고와 부산대 경제학과, 헬싱키대학원 경영학과를 나와 KB국민은행에서 대기업영업본부장, 기업금융그룹 전무 등을 거쳤다.
이동철 KB금융지주 전무는 전략총괄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그는 제주 제일고와 고려대 법학과, 튤레인 로스쿨(국제법)을 나와 KB국민은행에서 뉴욕지점장, 경영관리부장, 전략담당 상무 등을 거쳤다.
김기환 리스크관리 총괄 상무와 신홍섭 홍보·브랜드 총괄 상무도 전무로 승진했다. 이재근, 한동환, 성채현, 이창권 상무는 승진해 새로 임원진에 합류했다.
KB국민은행에서는 허정수, 오평섭, 이용덕 전무가 각각 경영기획그룹, 고객전략그룹, 여신그룹 부행장에 승진했다. 특히 자본시장본부 본부장으로 승진한 하정 본부장은 1965년생으로 올해 신규 임원에 비해 젊다.
양규석 KB금융지주 팀장은 "재임기간 영업성과가 우수한 인재와 변화하는 금융환경에 맞게 젊은 인재를 발탁하는 등 성과와 역량이 검증된 인사를 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