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8235가구로 전월 대비 3.0% 증가…전국 미분양은 4개월째 감소세
전국 미분양 주택이 4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다. 반면 수도권 미분양 주택은 증가했다. 일부 지역 공공택지, 주택 공급과잉 때문이다. 지방은 미분양 관리지역 지정 등의 정부 대책으로 미분양이 줄었다.
2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1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5만7582가구로 나타났다. 이는 전월 대비 0.2% 감소한 수치다.
미분양 주택은 4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국 미분양 주택은 지난 7월 6만3172가구로 2013년 11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후 미분양 주택은 ▲8월 6만2562가구 ▲9월 6만700가구 ▲10월 5만7709가구 ▲11월 5만7582가구로 줄고 있다.
지역별로 수도권 미분양 주택은 1만8235가구로 전월 대비 3.0% 증가했다. 특히 인천은 26.2% 늘었다. 경기도 미분양 증가는 공공택지 공급과잉이 원인이다. 강원도는 제2영동고속도로 호재에도 미분양이 45.4% 증가했다.
지방 소재 미분양 주택은 3만9347가구로 전월 대비 1.6% 줄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분양보증 심사강화가 영향을 줬다. 8.25 대책 이후 HUG는 분양물량 초과 공급지역(미분양 관리지역) 대상 ‘분양보증 예비심사’를 도입했다. 해당 관리지구는 건설사가 분양절차를 진행하기가 종전 대비 어렵다. 미분양 관리지역 대다수가 지방에 위치한다. 분양을 통한 공급물량이 줄어 미분양도 덩달아 감소했다.
주택 규모별로 85㎥ 초과 중대형 주택 미분양은 7066가구로 전월 대비 6.9% 줄었다. 85㎥ 이하 중소형 주택 미분양 물량은 5만516가구로 전월 대비 0.79% 늘었다. 최근 건설사들이 중소형 주택 공급을 늘리면서 미분양 물량도 중소형 주택 위주로 늘고 있는 상황이다.
◇ 정부 정책으로 인허가는 늘고 분양승인 물량은 줄어
11월 주택 인허가 및 준공 물량은 정부 정책에 따라 상반된 행보를 보였다.
주택 인허가 물량은 전국 6만4833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다. 광명 1R, 2R 재개발 지구 내 6929가구, 의정부 용현주공2 재건축 2562가구 등 경기도 내 대규모 정비사업 지구 실적이 물량증가를 이끌었다. 내년말 ‘초과이익 환수제’ 유예제가 일몰된다. 이에 재건축, 재개발 조합이 인허가 절차를 서두르고 있다.
수도권 인허가 물량은 3만7166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42.4% 증가했다. 지방 인허가 물량은 2만7667가구로 같은 기간 24.7% 감소했다. 수도권은 경기도 내 대규모 정비사업 물량으로 인허가 실적이 늘었다.
인허가 실적과 달리 분양실적은 감소했다.
11월 전국 공동주택 분양실적은 3만7878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14.9% 감소했다. 당월 청약제도 개선(1순위, 2순위 청약접수 일정 분리 등)으로 건설사들이 분양일정을 연기했기 때문이다. 특히 수도권 인허가 물량은 같은 기간 54.6% 감소했다. 이는 지방 인허가 물량 감소치인 39.2% 대비 높은 수치다. 건설사의 인허가 물량은 그간 수도권에 집중했다. 이에 정부대책으로 일정을 연기한 단지들도 수도권에 다수 위치한다. 따라서 수도권 인허가 물량 감소치가 지방 대비 높았다.
한편 11월 주택 준공 실적은 전국 4만3360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7.2% 늘었다. 특히 수도권 준공물량은 같은 기간 60% 증가했다. 지방 준공물량은 같은 기간 7.5%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