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불확실성 높아 정부 선제적 대응 방침
건설업도 구조조정 대상 업종에 분류됐다. 필요 시 원샷법도 적용될 방침이다. 내년 주택시장 경기 하강 우려가 정부의 이같은 행보를 이끌었다. 다만 건설업계는 마냥 분양물량을 줄이기 어려운 상황이다. 건설사 실적에서 국내 주택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기 때문이다.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8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유일호 경제부총리는 건설업 구조조정 가능성을 언급했다. 건설 등 다른 주력산업 정밀분석 등을 진행하는 것이 정부 방침이다. 정부는 필요시 ‘원샷법(기업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을 통한 사업재편 등 선제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건설업 구조조정은 국내 주택시장 경기 하강에 대비하기 위한 차원이다.정부는 지난해 10월 범정부 협의체를 구성해 5개 경기민감업종인 조선‧철강‧유화‧해운‧건설업의 자율적 구조조정을 유도하는 방침을 발표했다. 다만 올해 들어 구조조정 기조에서 건설업이 제외됐다. 분양시장 호황에 따라 건설사 국내 수주액이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 10월 31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부부처 합동 브리핑에서 정부는 조선·해운·유화·철강업 구조조정 방안을 발표했다. 건설업은 구조조정안에서 제외됐다.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은 건설사 국내 수주 증가를 근거로 “(건설업은) 당분간 불안요인이 크지 않다”고 말했다.
주택시장 경기는 건설사 재무건전성을 좌우한다. 27일 건설산업연구원이 발간한 ‘2008년 이후 건설산업 구조조정 중간 점검 및 정책 방향’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기업의 차입금의존도는 25.4%로 나타났다. 차입금의존도는 지난 2008년(20.0%)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최근 저금리 기조가 이어졌다. 시중에 현금 유동성이 풍부했다. 이에 건설사의 주택 사업이 확대됐다. 이 과정에서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등을 통해 차입금 의존도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내년 주택 공급과잉에 따른 미입주 사태, 분양시장 악화가 차입금 폭탄의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번 정부 발표에 대해 건설업계는 ‘올것이 왔다’는 분위기다. 최근 건설업계 내부적으로 내년 사업전망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내년 주택시장 경기 하강, 건설투자 하락을 점치는 민‧관 연구소 발표가 줄을 잇는 상황이다. 이에 건설사들은 재무통을 고위 임원직에 임명하며 내실경영을 지양하는 모양새다.
한 회계사는 “국내 건설사들은 해외‧국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다만 지난 2년 간 분양시장 호황으로 국내시장 의존도가 커졌다”며 “건설사 재무구조에서 국내 주택시장 의존도가 높아졌다. 이에 건설사들이 내년 미입주 사태, 주택시장 경기 하강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 주택시장 투자, 실수요 심리냉각은 건설사 내년 농사에 '재앙'이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구조조정 방안에도 건설업계는 주택시장에 대한 기대감을 쉽사리 접기 힘들다. 건설사 관계자는 “최근 지역 간 분양 양극화가 너무 심해졌다. 일례로 울산은 지역경기가 침체되고 있다. 그럼에도 일부 지역 분양물량이 ‘완판행진’을 이어갔다. 분양결과를 예측하기가 ‘로또’ 수준이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럼에도 '우리가 분양하는 지역은 괜찮을거야 라는 심정'으로 건설사들이 분양을 계획하고 있다. 당장 내년 먹거리가 없다. 그럼에도 매출액을 예년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분양물량을 쉽사리 줄이기도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