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 사업자 13개 사업장 운영
면세점 추가 사업자 선정으로 무려 10개 사업자가 경쟁을 벌이게 됐다. 사업자가 늘었지만 면세사업 전망은 좋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면세 업계에 따르면 서울 시내면세점은 지난해까지 롯데, 신라, SK, 동화 4개 사업자가 6개 면세점을 운영했다. 하지만 올해 8개 사업자 9곳으로 늘어났다. 이어 지난 17일 추가 면세점 4곳 선정으로 내년에는 10개 사업자가 서울시내 13곳에 면세점을 운영하게 된다.
시장 참여자는 늘었지만 면세점을 찾는 수요는 예전만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로 중국인 관광객 증가세가 주춤하는 등 대내외 영업환경이 불확실해졌다.
그동안 중국인 관광객은 연평균 30% 이상 증가했다. 올해 들어 기세가 한 풀 꺽여 지난 10월 입국자 수가 68만 명으로 4.7% 증가하는데 그쳤다. 11월 중국인 입국자는 19만4923명으로 10.6% 감소했다.
이에 업계 관계자들은 중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송객수수료 역시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면세점이 관광객을 데려온 여행사, 가이드등에 지급하는 송객수수료는 매출 대비 10% 수준이다. 최근 경쟁이 격화되면서 35%까지 치솟은 것으로 알려졌다.
면세점 관계자는 “송객 수수료의 경우 신규면세점들이 30%까지 주면서 리베이트성격으로 변질되어가고 있다”며 “제도적으로 상한선을 두는 방향 등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면세 사업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현실이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2013년 개정된 관세법에 따라 5년마다 사업권에 대한 재승인 심사를 거쳐야 한다. 이번 심사에서 23년 동안 면세 사업을 운영해 온 SK네트웍스가 사업권을 획득하지 못한 것은 사업의 안정성이 크게 낮아졌다는 사실을 상징하는 사건이다.
게다가 특허수수료율까지 기존보다 최대 20배 올라 업체들의 수익성 개선에 악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2일 국회에서 열린 기재위 전체회의에서 현재 특허제로 운영 중인 시내 면세점 제도를 신고제·등록제로 전환하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유 부총리는 박준영 국민의당 의원이 “면세점이 잘 되면 많은 사람이 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며 현행 특허제도 개선을 촉구하자 “면세점이 우월적 지위를 가지는 게 있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