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등락에 영향받지 않아 안정적"… 정부 "사업 성과 보려면 2~3년 걸려"
저유가에 따른 생산성 저하로 얼어붙은 해양플랜트 설치사업 대신 해양플랜트 해체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2014년부터 주저 앉은 해양산업의 새 활로로 해양플랜트 해체사업을 추진중이다.
22일 해양수산부(해수부) 관계자는 “2014년 시작한 해양플랜트 해체사업 타당성 연구 용역은 마무리되었다. 지금 인도네이사 정부와 해양플랜트 해체사업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사업 참여 기업 공식 입찰은 내년 4월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해양플랜트(Off-shore Plant)는 바다 깊숙이 묻혀 있는 해양 자원을 탐사·시추·발굴·생산하는 장비를 가리킨다. 해양플랜트 해체사업이란 해양플랜트를 해양자원 개발 현장에서 철거 또는 처리하는 사업을 뜻한다. 해체는 완전 철거와 부분 철거 후 재활용, 재사용으로 구분된다.
해양플랜트 해체사업은 최근 전세계에서 주목하는 신사업이다. 해양설비의 평균 수명은 25~30년이다. 50~60년대부터 들어서기 시작한 해양플랜트 노후 설비 해체 수요는 전세계적으로 꾸준하다. 업계에서는 해양플랜트 해체시장이 향후 5년간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만 최대 40조원(32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 전망한다.
업계와 정부는 동남아시아 지역을 해체사업 추진의 요새로 본다. 미국 오일 서비스 회사 슐럼베르거(Schlumberger)와 미국 LA 최대 환경 엔지니어링 업체 테트라테크(Tetra Technology), 영국 오일·가스 회사 웨더퍼드(Weatherford) 등 해외 기업들은 유럽·북해 지역 해양플랜트 해체사업에서 높은 점유율을 갖고 있다.
동남아는 해외 기업들이 아직 발을 들이지 않은 신흥시장이다. 동남아 해역에서 5년 이내 해체될 유전 굴착 장치만 800기에 달한다. 해양플랜트 철거율은 2.5%로 낮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해양플랜트 해체가 단 한 건도 진행된 적이 없는 전인미답의 지역이다.
그간 국내 기업의 해양플랜트 해체시장 진출은 미진했다. 해체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국내 기업은 아직 없다.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은 그간 해양플랜트 설치에만 주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유가 기조가 닥치자 해외 정유기업들은 해양플랜트 발주를 중단했다. 해양플랜트 설치사업은 글로벌 경제와 유가변동에 발주량이 크게 휘청거린다. 반면 해양플랜트 해체사업은 설치사업에 비해 유가의 영향을 덜 받는다. 해양플랜트 해체사업이 설치사업의 대안으로 주목받는 이유다.
이장현 인하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는 “해양플랜트 해체사업은 설치사업과 달리 유가등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해체는 설비 수명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플랜트 설비 수명이 다하면 해체 수요는 늘 존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또 “유가 회복으로 업황이 회복된다면 현재 주춤한 해양플랜트 설치사업도 다시 살아날 것이다. 해체사업도 이와 동시에 성장할 수 있다”라고 분석했다.
정부는 국내 기업들이 설치사업 만큼이나 해체사업에서도 두각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라 본다. 해체사업은 특별한 기술보다 장비가 중요하다. 해체장비는 설치장비와 유사하다. 그간 해양플랜트 설치사업을 진행해 온 국내 기업들은 현재 보유 장비로 해체사업에도 뛰어들 수 있다.
해수부 해양정책과 관계자는 “2014년부터 추진한 해양플랜트 해체사업 진행이 더뎠던 이유는 사업 파트너인 인도네시아에 해체 관련 경험이 전무하기 때문”이라며 “앞으로 사업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등 절차를 진행해 나갈 계획인 만큼 2~3년이 지나면 구체적인 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