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김도진 부행장 등 기업은행장 선임에 청탁 의혹 주장

IBK기업은행 차기 행장 선임을 놓고 친박계가 차기 행장 선임과정에 개입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다. / 사진=뉴스1

IBK기업은행 내부에서 차기 행장 선임을 놓고 각종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기업은행 노조는 정부와 친박(친박근혜)계가 차기 행장 인사에 개입하고 있다며 현직 임원이 금융위 고위 관계자와 회동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기업은행과 금융위원회는 노조 주장은 근거가 없다며 회동 논란을 부인했다.

기업은행 노조는 현 정부 실세와 친박계가 차기 행장 선임과정에 개입하고 있다는 정황을 포착했다고 주장했다. 노조 관계자는 19일 "금융위가 김규태 전 전무이사와 김도진 부행장(경영전략그룹), 관료 출신 외부인사 한 명을 차기 은행장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지난달 14일 정찬우 이사장이 주관한 저녁식사 자리에 김 부행장과 정은보 금융위 부위원장 등이 모임을 가진 것으로 제보를 받았다"며 혼란스런 정국상황을 틈타 마지막 보은인사를 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 관계자는 "이런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데 관련 임원(김도진 부행장)은 해명을 하고 있지 않다"며 "그는 내부에서도 신망을 받지 못하는 인물이다. 그런 인물이 차기 행장으로 거론되고 있다. 기업은행 내부에서도 의혹이 있는 사람이 행장에 오르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반면 기업은행 관계자는 "노조의 일방적인 주장"이라며 "김도진 부행장 본인은 정찬우 이사장이 주관한 저녁식사에 참석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금융위에서조차 관련 논란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며 "노조에서 미는 인물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이런 일이 생겨 김도진 부행장 입장에선 당혹스러워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노조 관계자는 "인선이 늦어지면 권선주 행장의 퇴임 후에는 박춘홍 전무의 대행체제로 운영되는 상황을 맞게 된다"며 "대행체제가 와도 은행은 차질없이 돌아가는데 급하게 일을 처리하려고 하고 있다. 의혹을 받는 인물이 오는 것을 아무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특히 노조는 김도진 부행장에 대해 "김도진 부행장은 경영전략그룹에 있으면서 본인 소임 업무보다 (행장이 되기 위한) 정치적 행보만 해온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김 부행장은) 은행 내부적으로 신임을 얻고 있지 못한 인물"이라고 강조했다. 금융권 일각에선 김규태 전 전무와 김도진 부행장 모두 영남 출신으로 정부와 친박계가 더 늦기 전에 영남 출신을 챙기려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중소기업은행법에 따르면 기업은행장은 금융위원장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 기업은행장 인사에서 금융위와 청와대 영향력이 절대적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노조가 근거없이 일방적으로 성명을 발표한 것"이라며 "은행 입장에선 인사에 관여할 수가 없다. 금융위나 김 부행장도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말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