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배치 논란속 중국정부 규제 강화…면세점 매출도 둔화
중국을 중심으로 승승장구하던 국내 화장품 업계에 빨간불이 들어와 있다. 중국의 규제 강화, 사드 배치 이후 관계 경색 등 불확실성이 커져 내년도 시장 상황이 긍정적이지만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14일 화장품업계에 따르면 중국의 한국 화장품에 대한 규제는 이미 상당히 진행됐다. 2015년부터 따이공(보따리상)에 대한 규제가 강화됐고 사드배치 이후 해당 조치들이 강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6월 중국 당국은 해외구매 상품 통관을 강화했다. 이어 올 4월에는 해외 직구 세수 정책을 변경했다. 직구 채널이라고 하더라도 화장품의 경우 필수적으로 위생 허가를 받도록 조치했다. 여기에 비공식적이기는 하지만 저가여행 규제, 한한령이 이어지면서 관계는 급속도로 굳어가고 있다.
이에 중국인 여행객 줄어들게되 면세점 채널 매출 부진으로 이어질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화장품은 중국인의 한국 화장품 수요 급증으로 인해 그동안 중국 관광객 입국 수와 비례하는 성장세를 보였다.
하지만 2015년 부터 시내면세점이 더 늘어나면서 전반적인 수익성은 줄어드는 추세다. 여기에 관세청은 오는 17일 서울 시내면세점 4곳을 추가 선정한다는 방침이어서 경쟁은 더욱 심화 될 전망이다.
화장품 사업도 면세점 채널의 성장 둔화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시내 면세점의 주 고객이 중국인인데다가 그들의 주요 소비 품목이 화장품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내 주요 면세점이 매출의 60%를 유커에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호텔롯데, 호텔신라, SK워커힐면세점, 동화면세점 등 국내 4대 면세점의 총매출 8조589억원 중 62%에 해당하는 5조353억원이 중국인 관광객의 지갑에서 나온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중국인 관광객에게 가장 인기 있는 품목은 화장품으로 2조6502억원어치가 팔렸다. 이는 패션·잡화(8411억원), 시계·보석(7018억원)과도 눈에 띄는 격차를 보인다.
손효주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과의 정치적인 이슈, 면세 채널의 초과 공급 등이 화장품 시장에 변수가 될 우려가 있다”며 “이 요소들이 국내 기업 가치와 시장 자체에 당분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