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관리 대상으로 퇴출될 105개 포함…불황 취약 업종 뚜렷
금융감독원이 중소기업 176개사를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했다.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 규모다. 부실기업 업종은 뚜렷하게 나타난다. 경제 불황 타격을 크게 받는 중기업종이 나뉘는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감독원은 6일 '2016년 중소기업 신용위험 정기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176개사를 구조조정 대상으로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채권단공동관리(워크아웃) 대상 C등급은 71개사,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대상 D 등급을 받고 퇴출 당하는 기업은 105개사다.
구조조정 기업은 지난해보다 1곳 늘었다. 다만 2014년(125개)보다 51개(40.8%)나 급증했다. 2014년 C등급과 D 등급은 54개, 71개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70개, 105개로 늘었다. 매년 느는 추세다.
경제 불황에 타격을 받는 기업군은 뚜렷하게 나타났다. 조선·건설·석유화학·철강·해운 등 5대 경기민감업종 기업은 26개사다. 전체 구조조정 대상 기업의 14.8%를 차지했다.
업종별로 금속가공품제조업(22개사), 전자부품제조업(20개사), 기계장비제조업(19개사), 고무‧플라스틱제조업(14개사) 등이 다수를 차지했다.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리콜사태와 자동차 내수와 수출 부진 등으로 관련 업종 중소기업이 타격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유통업은 8개사(C등급 2개, D등급 3개), 전기장비 8개사(5개, 3개), 부동산업 7개사(3개, 4개), 스포츠서비스업 5개사(2개, 3개) 등을 기록했다. 비제조업에서는 경기침체에 따른 내수부진이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식료품제조(4개사,) 폐기물처리(4개사), 보건(3개사), 숙박(2개사), 음식점(2개사) 등 기업군도 구조조정 대상 기업에 비교적 적은 숫자가 선정됐다.
구조조정 대상 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1조9720억원이다. 지난해(2조2204억원)보다 감소했다. 은행권이 이 신용공여액 중 1조7000억원(88.6%)을 차지했다. 다만 금감원은 은행권 손실흡수 여력을 감안할 경우 은행권이 받을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평가결과 C등급 기업은 워크아웃 등을 통한 신속한 경영정상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D등급 기업은 회생절차 등을 통해 부실을 정리토록 유도할 방침이다. 또한 채권은행 신용위험평가와 사후관리 등에 대한 적정성을 점검하기 위해 12월 중 외부전문기관(신용평가사)과 공동으로 현장 점검할 예정이다.
장복섭 신용감독국 국장은 "구조조정 추진 과정에서 협력업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워크아웃 기업의 협력업체에 대한 B2B대출 상환유예를 독려하겠다"며 "업 재무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엄정한 옥석가리기를 통한 선제적 기업구조조정을 상시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채권은행들은 지난 7월부터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미만 중소기업 2만여개를 대상으로 구조조정 대상 기업 찾기를 진행했다.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미만(영업이익이 이자비용을 넘지 못한 상태) △영업활동현금흐름 부(-), △완전자본잠식, △자산건전성 분류 '요주의' 이하 기업 2035개사를 세부평가 대상으로 구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