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무 LG 회장은 개혁 필요성 언급…전경련 개혁 급물살 탈 듯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제1차 청문회에 출석한 재벌 총수들이 의원들의 질의를 듣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손경식 CJ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 사진=뉴스1

삼성그룹과 SK그룹이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에서 탈퇴하겠다고 밝혔다. LG그룹은 전경련 개혁 필요성을 언급했다. 재계 1위인 삼성, 3~4위 그룹인 SK·LG의 이 같은 입장 표명으로 전경련 개혁에 속도가 붙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6일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삼성이 전경련에 내는 기부금을 중지하겠다고 말해달라'는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의 요구에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다. 그는 향후 이어진 추가 질의에서 "저희는 (전경련을) 탈퇴하겠다"고 부연했다.

이 부회장은 '전경련 대신에 미국에 있는 브루킹스 재단, 헤리티지 재단 같은 싱크탱크를 투명하게 만들어 달라. 우리사회 불우이웃을 돕기 위해서 정말 좋은 재단 만들어 달라'는 하 의원의 요청에도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앞서 '전경련 해체에 동의하느냐'는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다른 그룹) 선배 회장님들도 계시고 많은 전경련 직원들도 계신 것 같다"며 "전경련 자체에 대해선 뭐라고 말씀 드릴 자격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전 전경련 활동을 하지 않겠다"고 확답했다.

최태원 SK 회장도 '전경련 탈퇴 의사에 동의하느냐'는 하 의원의 질의에 "그렇다"며 "환골탈태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새로운 방안이 있으면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안민석 민주당 의원이 재벌 총수 9명을 대상으로 '전경련 해체를 반대하는 분들 손 들어달라'고 요구하자 정몽구 현대차 회장, 구본무 LG 회장, 신동빈 롯데 회장, 허창수 GS 회장, 김승연 한화 회장, 조양호 한진 회장이 손을 들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안 의원의 '5대 재벌이 1년에 내는 회비가 얼마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200억원 정도 된다"고 답했다.

다만 구본무 회장은 별도 발언을 신청해 "의원들 말씀대로 전경련은 헤리티지 재단처럼 운용되고 각 기업 간 친목단체로 남아야 된다는 게 제 의견"이라고 개혁 필요성을 강조했다.

5대 그룹 중 세 개 그룹이 탈퇴 및 개혁 필요성을 언급함에 따라 다른 그룹들이 연쇄 이탈 할 가능성도 있다. 더욱이 재계 3~4위 그룹인 최태원·구본무 회장이 직접 전경련 개혁의 필요성을 언급함에 따라 재계에서도 개혁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1961년 발족해 50년 넘게 재벌들의 이익단체 역할을 해온 전경련은 해체든 개혁이든 전경련의 일정 부분 변화는 불가피해 보인다.

전경련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와 관련해 미르·K스포츠재단의 모금 창구 역할을 한 것으로 드러나 거센 해체 압박을 받았다. 사실상 정경유착의 통로로 이용된다는 비판 속에 거센 해체 목소리가 제기되는 상황이다. 미르·K스포츠재단 강제모금 의혹이 불거지며 정치권에서 해체 촉구 결의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승철 전경련 상근부회장은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를 받은 안종범 전 정책조정수석비서관으로부터 지시를 받고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과 기금 모금을 주도했다. 이 부회장은 당초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이 전경련 주도하에 기업들의 자발적 모금이라고 주장했다가 검찰 수사 후 안 전 수석의 지시 사실을 털어놨다.

전경련은 앞서 올초에도 극우단체인 대한민국 어버이연합에 운영자금을 댄 사실이 드러나 거센 논란이 됐다. 하지만 전경련은 이 같은 의혹에 입장을 내지 않고 모르쇠로 일관해 야당과 시민사회단체의 비난을 받았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