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는 가입비율과 가구 수 1위...인천 최하위

탄소포인트제도 설명/사진 = 한국환경공단

 

탄소포인트제도 가입 가구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가입비율과 가구 수 모두 1위를 기록하며 녹색도시로서 이미지를 다졌다. 반면 인천은 탄소포인트제도 통계에서 8개 광역시 중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인천시 관계자는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다며 해명에 나섰다.

통계청은 지난 15일 5개 부문(가족, 교육, 보건, 안전, 환경)을 선정해 ‘2016년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는 지난 조사와 달리 ‘녹색생활지표’를 부록으로 수록해 탄소포인트, 친환경 상품 구매 등에 대한 녹색생활실천지표와 녹색생활지표를 확인할 수 있게 했다. 조사는 전국 2만5233가구 표본가구 내 만 13세 이상 가구원 약 3만86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탄소포인트제도 가입비율은 꾸준한 오름세를 유지했다. 2011년 11.4%에 불과했던 전국평균가입비율은 2015년 30.1%까지 늘어났다. 가입가구 수는 2011년 7월 말 209만 가구에서 지난해 588만 가구로 2배 이상 늘어났다.

시도별 탄소포인제도 가입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76.9%)이었다. 그러나 서울이 에코마일리지를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1위는 광주(75.7%)였다. 광주의 탄소포인트제도 가입 가구는 43만4000가구다. 서울을 제외한 광역시 중 가장 많은 가입 가구 수치다.

광주시 관계자는 “광주은행과 협약을 맺고 전국에서 최초로 탄소은행을 만들어 시행했다”며 “탄소포인트제도에 대한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범위를 학교 등으로 까지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가입비율 1위를 기록한 이유에 대해서는 “구청마다 전담인력을 구성하고 가정을 방문해서 참여를 독려하는 등 적극적으로 홍보에 나선 것이 주효했다”고 말했다.

광주는 탄소은행 가입율도 1위를 기록했다. 2015년 기준 광주는 59.7%의 가입률을 기록했다. 대전(44.5%)이나 서울(43.8%)과 비교해 10% 이상 높다. 탄소은행제를 통해 온실가스 12만7000톤을 감축하면서 실질적인 성과도 냈다.

반면 인천은 가입비율(8%)과 가구 수(8만6000가구) 모두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전국평균가입비율인 30.1%와 비교해보면 4배가량 차이가 난다. 가구 수는 광주보다 5배가량 적다. 4년 전인 2011년과 비교해도 가입비율은 1.7%, 가구 수는 2만5000가구 늘어나는데 그쳤다.

인천시 관계자는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다며 해명에 나섰다. 관계자는 “탄소포인트제도 통계는 개별 가입 세대를 기준으로 봐야한다”며 “지난해 인천은 단지별 가구 수가 다른 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어 종합적인 수치가 낮게 나왔다”고 말했다.

탄소포인트제 가입 확대를 위한 노력도 했다고 밝혔다. 인천시 관계자는 “탄소포인트제도 참여 대상을 150세대 이상 아파트 단지로 확대했고, 지난 6월까지 접수를 받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말 기준 700세대였던 단지별 가구수는 올해 186개 단지 약 12만세대로 확대됐다고 덧붙였다. 또 “인구수와 가입 가구 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보면 인천은 8개 광역시 중 5위 정도”라며 최하위라는 통계는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탄소포인트제도는 가정과 상업 시설에서 전기·수도 등을 절감하고 감축된 실적에 따라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온실가스 실천 프로그램이다. 인센티브는 연 2회 지급된다. 지방자치단체에 따라 현금이나 교통카드, 상품권, 종량제 쓰레기봉투 등이 지급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