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계획위,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안 가결

구룡마을 개발계획 조감도 / 자료=서울시

 

서울 강남의 마지막 판자촌 구룡마을 개발계획이 확정됐다. 1100여가구의 판자촌이 밀집한 이곳은 2020년까지 2600가구의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하게 된다.

서울시는 지난 16일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도시개발구역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17일 밝혔다.

개발계획 내용을 보면, 개포동 일대 26만6304㎡에 아파트와 도시기반시설 등이 들어선다. 주거용지 12만1165㎡(45.5%), 도시기반시설용지 13만4461㎡(50.5%), 의료&연구용지 1만678㎡(4.0%)로 계획돼 있다.

아파트는 분양 물량 1585가구, 임대아파트 1107가구로 분양과 임대 가구를 한 건물에 섞어 배치하는 소셜믹스로 이뤄진다. 임대아파트에는 구룡마을 거주민들이 이주한다. SH공사는 구룡마을 거주민들의 이주가 끝난 뒤 남은 잔여 임대아파트는 분양 전환할 계획이다.

아파트는 기존의 획일적인 판상형 중고층 아파트 배치에서 탈피해 양재대로변은 도시 대응형 고층 아파트(25층)를, 대모산과 구룡산 인접 지역은 자연 대응형 저층 아파트(5층)를 짓는다.

아울러 건축 마스터플랜을 통해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창업지원센터, 재활용센터, 마을공방, 공동작업장, 공동식당 등 자족 기능과 소득창출이 가능한 일자리 창출 공간을 계획했다. 또 거주민들을 위한 마을카페, 공동체 텃밭, 도서관, 주민체육시설 등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도 들어설 예정이다.

구룡마을 개발은 내년 실시계획 인가 후 2018년 착공해 2020년 말에 사업을 마치는 일정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강남구, 주민, 토지주 등과 논의해 될 수 있으면 앞당겨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오랜기간 표류했던 구룡마을 개발계획안이 통과된 것에 대해 강남구는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강남구는 “30여년 간 방치된 무허가판자촌을 정비하고 쾌적한 도시로 본격적으로 개발할 수 있게 된 것에 대해 좀 늦은 감은 있지만 경위 불문하고 감사하고 환영한다”고 밝혔다.

한편 구룡마을은 1970~80년대 각종 공공사업으로 생활터전을 상실한 철거민들과 갈 곳 없는 부랑자들이 집단촌락을 형성한 곳이다. 현재는 약 1100여가구가 살고 있는데 기반시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화재나 풍수해 등 재해에 노출돼 있고 오·폐수 및 쓰레기 등으로 생활환경이 열악하다. 이에 서울시는 이 일대를 정비하고 판자촌 주민들에게 더욱 나은 생활터전을 만들어준다는 계획으로 이곳 개발에 나섰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