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평창조직위원장 사퇴·미르재단 기금출연 강제성 여부 조사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검찰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했다. 검찰은 조 회장의 평창올림픽 조직위원장 사퇴 경위와 한진그룹이 미르재단에 기금을 출연한 배경을 조사하고 있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13일 오후 조 회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조 회장은 최씨 측근인 차은택 씨 측 인사인 김종덕 당시 문화체육부 장관의 압박에 올 5월 평창올림픽 조직위원장에서 물러났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당시 스위스 회사 ‘누슬리’에 2018년 평창올림픽 시설 공사를 맡기라고 청와대에서 지시가 내려왔지만, 이를 거부한 것이 조 회장 사퇴의 계기로 작용했다고 알려졌다. 누슬리는 올 3월 최씨 소유로 알려진 ‘더블루케이’와 협약을 맺은 업체다. 조 회장의 조직위원장 사퇴 배경에 최씨와 연관된 평창올림픽 이권사업에 협조하지 않아 ‘괘씸죄’를 샀다는 추측이 일었다.
검찰은 한진그룹이 최씨가 실세로 있는 ‘미르재단’에 10억원의 출연금을 낸 과정에 강제성이 있었는지도 조사할 계획이다.
또 조 회장이 박근혜 대통령과 개별 면담했는지 여부도 조사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7월 조 회장을 비롯해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지원하는 대기업 총수 17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간담회를 가졌다.
조 회장은 이후 이틀 간 진행된 박근혜 대통령과 비공개 개별 면담을 진행한 대기업 총수 7명 중 한명으로 거론되고 있다. 조 회장은 독대사실을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검찰은 12일 오후부터 13일 새벽까지 재벌 총수 3명(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김창근 SK 수페스축구협의회 의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비공개 소환해 조사했다. 이들은 박 대통령과 독대한 것으로 알려진 대기업 총수 7명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