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실업률 8.5%, 2005년이후 가장 높아…조선·해운 구조조정 여파 제조업 취업자 크게 줄어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여파로 제조업 취업자가 7년 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취업자 증가 폭은 2개월 연속 20만 명대에 그쳤다. 청년실업률도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수준까지 치솟았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을 보면 10월 전체 취업자 수는 2657만7000명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7만8000명 늘었다. 조선·해운업 경기불황과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가 큰 폭으로 감소해 취업자 증가 폭은 8월(38만 7000명), 9월(26만7000명)에 이어 두 달째 20만 명대에 머물렀다.
제조업 부진은 특히 고용 상황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10월 제조업 취업자는 1년전 보다 11만 5000명 감소한 443만7000명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감소 폭은 2009년 9월 이후 가장 컸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 7월 49개월 만에 처음으로 줄어든 이후 4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감소 폭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진해운 물류대란으로 운수업 취업자 수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만명 줄었다. 운수업은 제조업과 같이 지난 7월부터 4개월 연속 취업자 수가 감소하고 있다. 관련업계는 한진해운 물류대란이 조선·해운업에 연관된 고용시장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반면 코리아세일페스타 등 내수진작책에 힘입어서비스업·음식점업 등에서는 취업자 수가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통계청은 숙박 및 음식점업(10만3000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9만2000명), 건설업(5만9000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5만9000명) 등에선 취업자 수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10월 실업률은 2005년(3.6%) 이후 가장 높은 3.4%를 기록했다. 실업자는 40대에서 감소했지만 20·30대 중심으로 증가했다. 전체 실업자는 1년 전보다 8만4000명 늘었다.
청년층 실업률 역시 1999년(8.6%)이후 가장 높은 8.5%를 기록했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2.4%로 0.7%포인트 올랐다. 청년층 실업자는 1년 전보다 5만4000명 늘어났다.
임금근로자는 15만8000명 늘어난 1968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고용계약이 1년 이상인 상시근로자는 25만6000명(2.0%) 증가했다. 계약 기간 1개월∼1년 미만인 임시근로자는 6만7000명(-1.3%), 1개월 미만인 일용근로자는 일용근로자는 3만명(-2.0%) 감소했다.
자영업자는 12만4000명(2.2%) 증가했다. 무급가족봉사자는 4000명(-0.3%) 감소해 전체 비임금근로자는 12만명(1.8%)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관계자는 "코리아세일페스타에 따른 내수진작 및 외국인 관광객 증가 등 영향으로 도소매·숙박음식업·서비스업 등이 취업자 증가세를 주도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