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인텔·노키아 등 우군 확보·5G-SIG규격 국제 표준화 성공하나

오성목 KT네트워크부문장이 8일 광화문 KT스퀘어에서 5G-SIG 공통 규격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 사진=민보름 기자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이후 표준화만 성공하면 2019년 상용화가 가능하다." 오성목 KT 네트워크 부문장이 5G 전략을 발표하면 이같이 말했다.

 

KT85G통신 공통규격을 발표했다. 이 규격은 KT와 삼성전자, 인텔, 퀄컴, 노키아 등 5개 기업이 공유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5G-SIG(Special Interest Group, 5G 규격협의체)로 협력하고 있다. KT는 협의체 의장국이다.

 

전 세계에서 통신 네트워크와 장비, 부품 제조업계를 대표하는 기업들이 모인 이유는 빠른 5G 상용화를 통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다. 세계 통신 기술 표준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라는 조직에서 정한다.

 

힘 있는 기업끼리 규격을 만들고 이 규격이 대세가 돼서 3GPP를 통해 표준화되면 해당 기업 입장에선 금방 미리 준비한 제품과 서비스를 시장에 내놓을 수 있다. 이미 1026KT와 삼성전자는 이 규격에 따라 개발한 장비와 통신망으로 첫 번째 전송 실험(First Call)에 성공했다.

 

KT는 누구보다 빠른 기술 상용화를 바라고 있었다. 황창규 KT회장이 2015년 하버드대 강연에서 평창 동계올림픽을 5G 올림픽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했을 때 5G 기술 분야는 황무지나 다름없었다.

 

황 회장은 기술 개발을 신속히 추진해 평창 올림픽을 기점으로 5G 시장을 선도하려 하고 있다. 평창 올림픽은 KT 5G기술을 세계에 홍보하는 실험의 장인 동시에 한국이 관련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출발점이다.

 

2019년엔 도쿄에서, 2020년엔 베이징에서 올림픽이 열린다. 일본과 중국 통신기업들도 올림픽을 계기로 자국 기술로 5G 시장을 주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황 회장은 빠른 대응으로 양국을 제치고 시장을 선도하려 한다.

 

전홍범 KT Infra 연구소장이 KT 5G-SIG 규격 기술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는 모습. / 사진=민보름 기자
정홍범 KT Infra 연구소장은 전 세계 LTE 시장에서 한국 점유율은 4.4%정도라면서 “KT5G시장에서 2026년까지 수출 100억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KT는 이를 위해 5G-SIG 의장사를 맡아 각기 다른 기업의 이해관계를 조율했다. 각기 규격으로 도입하고자 했던 기술이 달랐기 때문이다. 그러다 KT가 주도해 평창에서 개최한 4번째 회의에서 비로소 규격에 대한 합의가 이뤄졌다.

 

이 규격은 고주파수인 28기가헤르츠(GHz) 대역에서 800메가헤르츠(MHz) 폭을 활용하는 기술이다. 28GHz 대역은 고주파수라 다른 5G 후보 대역인 3.5GHz보다 정보 전송속도가 빠르다. 현재 국내 주파수 할당 조건 상 대용량 전송을 위해 넓은 주파수 폭을 확보할 수 있는 대역도 28GHz이다.

 

KT는 여기에 무선 전송 방식을 5G 이전 전송 방식과 병행해 통신 지연 현상을 개선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차가 앞 차 급제동을 인식하는데 20밀리세컨드(ms)가 걸린다면 충돌 확률이 높아진다. 통신지연 현상 개선으로 이 시간이 1ms로 줄어든다면 자율주행차는 빨리 차를 멈추고 앞차와 충돌을 피할 수 있다.

 

대신 28GHz 대역은 전파손실이 많고 강도가 약해 전송 거리가 짧다. KT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 기지국과 장비들을 활용한다. 유선 기가(Gbps)속도 통신망도 무선 통신을 위한 기반 시설로 쓰인다. 전국 데이터가 중앙 기지국으로 몰렸다 분산되는 트레픽 쏠림 현상도 지역별 클라우드 개설과 네트워크 가상화로 막을 수 있다.

 

이 모든 전략은 이 기술 규격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고 KT28GHz 주파수를 확보할 수 있어야 실현 가능하다. 오성목 부사장은 한두 개 협력사와 규격을 만들어 가면 쉽게 갈 수 있지만 이동통신 시장에서 메이저(major)급 회사 5개와 합의체를 만든 건 표준 기술로 채택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28GHz 주파수 표준화에 대해선 미국은 이미 해당 주파수를 5G용으로 할당했다면서 한국에선 현재 할당 대가대로 800MHz 폭을 받으려면 수조원이 되기 때문에 미래창조과학부와 협의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