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사태로 내·외부서 탈퇴 압박 커져…기관장들 국감서도 "연내 결정" 밝혀

금융공기업 관계자들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후 금융공기업들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원 탈퇴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8일 밝혔다. 사진은 전경련 회원사인 산업은행의 이동걸 회장. / 사진=뉴스1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후 금융공기업들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원 탈퇴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한국수출입은행 관계자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이후 금융공기업들이 전경련 탈퇴 쪽으로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며 "이런 분위기에서 수은 혼자 전경련에 남아있으면 모양새가 좋지 않다"고 8일 밝혔다.

익명을 요구한 다른 금융공기업 관계자도 "최순실 사태와 전경련의 대기업 기금 모집이후 내부적으로 전경련 탈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한국산업은행은 지난 5월부터 전경련 회비를 내지 않고 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4월까지 전경련에 수십만원의 회비를 낸후 내지 않았다"며 "앞으로도 회비를 낼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국회의원들은 금융공기업 수장들에게 전경련 탈퇴를 요청했다. 의원들은 공적 기관인 금융공기업이 재벌 대기업 이익을 대변하는 전경련 회원사로 활동하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전경련이 미르·K스포츠 재단 모금을 도왔다는 것도 문제다. 전경련은 보수 단체 어버이연합에 돈을 우회 지원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국감 당시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등 금융공기업 수장들은 연내 전경련 탈퇴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답했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 이사장도 같은 답변을 했다.

국정감사 이후 최순실씨가 이들 재단 설립과 운영에 관여했다는 의혹이 커졌다. 특히 최씨가 국정에까지 개입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지난 10월25일 박근혜 대통령은 최씨에게 연설문과 홍보문 작성에 도움을 받았다고 인정했다.

이에 금융공기업들의 내·외부에서 전경련 탈퇴 압박이 부쩍 커졌다.

나기수 기업은행지부 위원장은 "금융공기업은 당연히 전경련에서 탈퇴해야 한다. 회사 내부에 전경련 탈퇴가 필요하다는 소식지를 돌렸다"며 "은행 직원들의 탈퇴 목소리가 높다. 은행장이 결단을 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은과 수은, 기업은행은 각각 1969년, 1976년, 1968년부터 젼경련 회원사로 가입해 활동했다. 이 국책은행들은 지난 한해만 전경련 회비와 지원금으로 각각 1156만원, 2100만원, 2365만원씩 냈다.

신용보증기금은 1975년, 기술보증기금은 1996년부터 전경련에 가입했다. 지난해 각각 204만원, 144만원의 연회비를 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