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간 직접 타격보다 추가 대책에 부담 증폭
11·3 부동산 대책으로 건설 업종이 일제히 하락했다. 분양시장이 식을 수 있다는 우려 속에 국내 건설사들 실적이 나빠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단기 악재라기보다 내년에 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4일 국내 증시에서 건설 업종은 전일 대비 1.82% 하락 마감했다. 66개 상장사 가운데 34 종목이 하락했고 10 종목은 보합으로 거래를 마쳤다. 동부건설은 13.51% 하락했고 현대산업개발은 4.41% 떨어졌다. 현대건설과 대우건설, 대림산업, GS건설 등 대형건설사도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전일 발표된 정부 대책을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지만 증시에서는 일단 움츠려드는 쪽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11·3 부동산 대책의 핵심은 투기세력 억제다. 서울 강남4구를 비롯한 일부 지역에 전매제한 기간을 강화했고, 청약 1순위 및 재당첨 자격을 제한했다. 특히 지난 8월 부동산 대책에서는 포함되지 않았던 전매 규제 강화가 이번 대책의 핵심으로 평가받고 있다. 강남, 서초, 송파, 강동 등 강남4구는 소유권 이전 등기시까지 전매가 제한된다. 나머지 서울 지역도 민간택지는 18개월간 전매 제한 기간을 뒀다.
기존 주택 시장을 두고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신규주택 시장에 대해서는 침체가 불가피하다는 예상이 나온다. 주택 공급량 축소로 기존 주택 가격은 더 오른다는 예상도 나오지만 신규 주택에 있어서는 공급량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뜻이다. 대형건설사들은 주택공급계획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라진성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번 대책으로 내년부터 신규 분양 물량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아 건설사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이번 대책에서 입주권 거래 등 조합원 지위 양도, 분양가 상한제 등 재건축 관련 규제가 빠졌기 때문에, 전반적인 분양 열기는 가라앉을 수 있지만 시장에 큰 충격이 나타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대책 이후 추가 대책이 나올 수 있다는 점은 부담이다. 정부는 이번 대책에서 제외된 지역에도 전매제한을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시기는 시장상황에 맞춰 결정하겠지만 관건은 시장상황이라는 이야기다. 특히 주택경기 연착륙을 언급한 만큼 향후 방향성은 투기과열 해소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