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경제동향간담회서 밝혀… "갤노트7사태, 청탁금지법 등 불확실한 요인 많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각계 경제 전문가들과 만나 경제동향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6일 주력산업 구조조정과 관련 정부가 경제논리에 따라 일관성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한국은행 본관에서 경제동향간담회를 주재하고 지난 24~25일 지역본부 업무 독려차 울산, 포항을 방문해 조선, 자동차, 석유화학, 철강업체 관계자들을 만나 의견을 나누었다고 소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모두 수요부진과 공급과잉으로 적지않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지 않기 위해 경영합리화 노력을 강도있게 추진하는 것으로 파악했다"며 "정부가 산업별로 밑그림을 갖고 업계와 긴밀한 협의하에 구조조정을 일관성있게 추진하는 게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 총재는 지난 25일 한은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을 0.7%로 발표한 것과 관련 "만족스럽지 않지만 어려운 대내외 여건에서 정부의 정책적 노력에 힘입어 완만한 회복세를 유지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 총재는 "우리 경제가 앞으로도 성장 흐름을 이어갈 수 있을지 우려가 제기된다"며 기업 구조조정, 청탁금지법 시행, 삼성전자 갤럭시노트 7 생산중단, 건설경기 둔화 가능성, 보호무역주의 강화를 불확실한 요인으로 꼽았다.

이 총재는 "우리 경제에 많은 불확실성이 있지만 어떻게 대응해나가느냐가 관건"이라며 "어려운 때일수록 위험요인들을 더욱 철저히 관리하고 대비하되 보다 나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잃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김영세 연세대 교수, 김주훈 한국개발연구원(KDI)수석 이코노미스트, 박종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신관호 고려대 교수,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 허재준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