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노트7, 자동차 파업으로 제조업 성장률 뚝

 

인천 항만에 수출을 기다리는 컨테이너가 세워져 있다. / 사진=뉴습
올해 3분기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이 0.7%로 집계됐다. 4분기째 0%대 저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갤럭시 노트7 사태와 자동차 파업 영향으로 제조업은 역성장했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3분기 실질 총생산(속보)'에 따르면 올 3분기 GDP는 전기보다 0.7%성장했다. 2분기 성장률인 0.8%에서 0.1%포인트 떨어졌다. 1.2%를 기록한 지난해 3분기를 제외하면 2014년 2분기(0.6%)부터 0%대가 이어지고 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민간소비 증가율이 낮아지고 설비투자가 감소로 전환했지만 정부 소비와 건설투자는 증가세가 확대되는 추세다.

민간소비는 비내구재와 서비스 소비가 늘어 전기대비 0.5%증가했다.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비가 늘어 1.4%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주거용 및 비주거용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3.9%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가 늘었지만 운송장비가 줄어 0.1% 감소했다. 수출은 반도체, 화학제품이 늘어 0.8% 증가했고 수입은 기계류, 거주자 국외소비 등을 중심으로 2.4% 증가했다.

경제활동별 국내 총생산은 제조업이 감소세로 전환됐지만 전기가스수도사업과 건설업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서비스업도 증가세가 확대됐다.

제조업은 운송장비, 전기 및 전자기기를 중심으로 1%감소했다.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리콜 사태와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자동차업계 파업 영향이 컸다. 3분기 제조업 성장률 -1.0%는 2009년 1분기 -2.25%이후 7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전기가스수도사업은 올여름 폭염으로 전력 판매량이 늘어 6.9% 성장했다. 건설업은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4.4%증가했다. 서비스업은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 등이 줄었지만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부동산 및 임대업 등이 늘어 1% 성장했다.

3분기 국내 총소득(GDI)은 전기보다 0.3%감소했다. 5년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던 2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 감소세다.

경제활동별 성장기여도는 내수가 1.3%포인트를 기록한 반면 수출에서 수입을 뺀 순수출 성장기여도는 -0.6%포인트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