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비 1조1천억 투입…안정적 용수공급 및 홍수조절 기대
7년여의 공사를 거쳐 경북 영주다목적댐이 준공식을 갖게 된다. 정부는 영주다목적댐이 맑은 용수공급과 홍수조절 기능, 나아가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경북 영주시 평은면 일대에 지난 2009년부터 추진해 온 영주다목적댐 건설사업을 마치고 준공식을 25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영주댐은 낙동강 유역 수질개선을 위한 하천유지용수 확보와 홍수피해 경감, 경북 북부지역 용수공급을 목적으로 계획됐다. 영주댐은 높이 55.5m, 길이 400m의 복합댐이다. 정부는 총사업비 1조1030억원을 투입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영주댐 준공으로 연간 2억㎥의 맑은 물을 확보할 수 있다. 그중 1억8000㎥를 하천유지 및 환경개선용수로 공급해 (영주댐이) 낙동강 수질개선에 도움을 줄 전망”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영주댐은 영주시와 함께 상주시 등 경북 북부지역 용수공급을 목적으로 생‧공용수 1000만㎥를 확보한다. 또한 영주댐은 7500만㎥의 홍수조절을 통해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피해를 예방한다. 아울러 영주댐은 수력발전을 통해 연간 15.78GWh의 청정에너지를 생상할 수 있게 된다. 이는 3288가구(4인 가구 기준)가 1년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영주댐은 국내 최초로 모래보존대책을 도입한 다목적댐이다. 영주댐이 들어서는 하천은 모래가 많은 내성천 특성을 지닌다. 이에 하천이 흐르면서 저수지에 모래가 퇴적된다. 영주댐은 댐 내부에 배사문을 설치해 저수지에 퇴적된 모래를 방류할 수 있다. 또한 영주댐은 상류 13km 지점에 있는 유사조절지를 통해 상류에서 유입되는 모래를 모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정부는 영주댐 내 저수지 주변에 국내 최장(길이 51km) 순환도로를 개설할 방침이다.영주댐 주변 자연경관을 활용한 관광명소 개발이 목적이다. 또한 정부는 수변공간을 활용한 이주단지(3개소, 66가구)를 조성해 수몰민 재정착을 지원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물문화관, 오토캠핑장, 문화재체험단지 등 다양한 편의시설은 지역 주민의 여가·문화생활 증진과 함께 영주시의 새로운 관광명소로 자리매김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