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만 분기 최대 실적 달성
하나금융그룹은 21일 실적발표를 통해 3분기 순이익 4501억원 누적 연결당기순이익 1조2401억원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이는 분기 기준 2012년 1분기 이후 최고 실적이다.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이미 지난해 연간 순이익 9097억원을 넘어섰다.
이번 3분기는 지난해 9월 통합은행 출범에 이어 지난 6월 전산통합까지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이후 첫 분기로 통합 시너지 효과가 발휘되며 최근 4년 내 최고 이익을 시현했다.
3분기 그룹 연결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2548억원)대비 76.6%(1953억원) 증가했다. 누적기준으로는 전년 동기 (1조36억원)대비 23.6%(2365억원)증가했다.
이자이익은 지난 6월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영향으로 3분기 순이자마진(1.80%)이 전분깆보다 0.01%하락했지만 전년 동기대비 2% 증가한 3조4583억원(누적기준)을 시현했다. 이는 지속적인 중소기업대출 증대와 포트폴리오 개선, 핵심저금리성예금 증대를 통한 조달비용 감축 영향이다.
수수료이익과 매매평가익 등을 합한 비이자이익은 3분기 중 원화 강세에 따라 외환환산이익이 1254억원 발생하는 등의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7.3%(1202억원)증가한 1조7577억원(누적기준)을 기록했다.
통합에 따른 비용절감 시너지 효과로 3분기 판매와 일반관리비(9545억원)는 전년 동기 대비 12.6%(1377억원)감소했다. 하나금융은 올해들어 매 분기별로 1조원 이내에서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운업 구조조정 등과 관련된 일회성 충당금 적립에도 불구 3분기 충당금 등 전입액은 경상적 충당금의 하향 안정화로 전분기보다 34.7%(1097억원)감소한 2063억원으로 나타났다.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 노력으로 대손 비용률은 0.39%로 상반기 대비 0.05%포인트 줄었다.
3분기 그룹 자산건전성 지표는 크게 개선됐다. 3분기말 기준 그룹의 고정이하 여신 비율은 1.11%로 2011년 4분기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고정이하여신 커버리지비율은 143.1%로 전분기보다 6.8%포인트 상승했다. 연체율은 0.57%로 전분기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KEB하나은행은 3분기 4619억원, 누적기준 1조2608어구언 연결당기순이익을 거뒀다. 전산통합 이후 활발한 영업활동으로 핵심저금리성 예금이 전분기 대비 0.7%(2824억원) 증가했다. 2014년부터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포트폴리오 조정 정책으로 대기업 대출은 8.6%(1조5145억원)감소한 반면 소호대출을 포함한 중소기업대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1.3%(7981억원) 증가했다.
3분기 말 기준 KEB하나은행 고전이하 여신비율은 1.02%로 전분기 대비 0.15%포인트 줄었고 고정이하 여신 커버리지비율은 143.1%로 전분기 대비 8.7%포인트 상승했다. 연체율은 기업 연체율 0.63%, 가계 연체율은 0.2%로 전분기 대비 각각 0.15%, 0.06%감소하는 등 은행 전체 연체율은 전분기 대비 0.12% 하락한 0.42%를 기록해 안정적 자산건전성 흐름을 이어갔다.
하나카드는 전년 동기 대비 133.6% 증가한 593억원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 하나금융투자는 579억원, 하나캐피탈 601억원, 하나생명 145억원, 하나저축은행 100억원의 3분기 누적 당기 순이익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