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원 늘려 해외의존도 낮춘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해외에 의존하던 고부가가치 엔지니어링산업에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엔지니어링은 기획, 기본·상세설계, 프로젝트관리, 유지보수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활동이다. 부가가치와 고용유발 효과가 매우 높다. 하지만 실무형 인재양성 교육 부족, 수주와 직결되는 수주이력(트랙레코드) 부족, 지나치게 가격에만 의존하는 사업자 선정 방식, 제조업에 비해 부족한 정부지원 탓에 해외의존도가 높았다.
산업부가 19일 제16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엔지니어링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산업부 관계자는 “미국, 독일 등 제조업 강국은 엔지니어링 혁신의 중요 수단으로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엔지니어링은 아직까지 엔지니어의 역량과 경험이 부족해 기본설계 등 고부가 엔지니어링은 대부분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며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부는 실무 훈련과 트랙레코드 구축 지원 등을 통해 기본설계, 프로젝트 관리 등 고부가가치 분야의 엔지니어링 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엔지니어링개발연구센터를 통해 입체(3D) 기반의 가상훈련 플랜트를 구축 운영하고, 액화천연가스(LNG) 플랜트 설비를 엔지니어 실무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미국 텍사스 A&M대 등 원천기술 역량을 보유한 해외 유수의 교육기관에 실제 프로젝트 참여 등 맞춤형 실무교육을 개설, 운영하고 ▲미국 페트로스킬스, 프랑스 IFP, 미국 UOP 등 해외 3대 플랜트 설계 엔지니어링 교육기관의 교과과정을 국내에 도입할 예정이다.
또한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와 성장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저가 경쟁에서 기술력 중심 경쟁으로 혁신하겠다는 의미다. 이에 정부는 ▲산업자 선정시 적격심사방식의 기술배점을 상향하고, 단계적으로 종합심사제를 도입하며 ▲추가업무 등에 대한 대가지급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지급 관행을 개선하고, 대가지급 금액에 실제 비용이 정확히 반영되도록 개선한다.
도경환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엔지니어링은 산업의 기초체력이자 기본 중의 기본”이라며,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 없이는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도 요원하다. 한국 기업들이 엔지니어링 산업의 경쟁력 혁신에 앞장설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