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송거부 전체의 10% 내외…주말 맞아 부산신항에서 대규모 집회
지난 10일 0시부터 시작된 민주노총 소속 화물연대 파업이 6일째를 맞았다. 특히 파업 4일째 부산지역에 모였던 전국 노조원이 각 지역별로 흩어져 개별 투쟁에 나서면서 파업 해제가 전망됐지만, 연대 측은 주말을 맞으면서 부산신항에서 대규모 집회를 여는 등 파업대오를 재정비하는 모양새다. 아직까지는 물류대란 피해가 크진 않지만 앞으로의 사회경제적 손실규모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부산신항 일대에서 전국 화물연대 14개 지부의 조합원이 모여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2000여명의 화물연대 노조원은 이날 오전 9시부터 부산신항 삼거리에서 집회를 연 뒤 2개 대오로 나누어 거리행진을 진행했다.
이번 파업은 정부의 화물 운송시장 발전 방안에 반발하면서 시작됐다. 지금까지는 택배 회사들의 소형 화물차 운행 대수가 제한돼 있었다. 이 제한이 이번 대책에서 풀리면서 택배 회사들이 자유롭게 운행 대수를 늘릴 수 있게 됐다. 그러다보니 운송비가 떨어질 수밖에 없고 기존에도 열악하던 택배 근로자 환경이 더 악화될 것이라는 게 연대 측의 주장이다.
업계에서는 화물연대가 이번 파업을 시작할 당시 사회경제적 손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사업용 화물차 44만대 중 화물연대 가입 비중은 3.2%(약 1만4000대)에 불과하지만 컨테이너는 92% 이상을 화물차를 통해 운송하고, 총 2만1700여대 컨테이너 운송차량 중 32.2%(7000대)가 화물연대 소속으로 추정돼기 때문이다. 앞서 2008년에는 7일간 파업으로 1억5958만 달러(약 1780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2012년에는 5일간 파업으로 2800만 달러(약 312억원)의 수출입 차질이 있었다.
그러나 다행히 아직까지의 피해는 크지 않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컨테이너 차량 운전자 8377명 가운데 운송회사의 지시를 거부하거나 연락을 두절한 운전자는 한 명도 없었고 명시적 거부 의사 없이 개인적 사유를 들어 운송에 참여하지 않은 운전자는 891명(10.6%)으로 집계됐다.
이는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대표 업체인 CTCA(통합물류협회 컨테이너 운송위원회) 소속 15개사와 일반운송업체 77개사의 운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것으로, 전체 컨테이너 차량 21757대의 38.5%에 불과하다. 다만 나머지 62%가량은 소규모 운송업체에 소속돼 개별적으로 영업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운송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지만 운송거부에 큰 영향은 없는 것이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여기에 군위탁 컨테이너 화물차도 지난 11일 부산지역에 55대, 광양에 5대 등 총 60대 배치됐다. 국토부 지방국토사무소와 한국도로공사 컨테이너 화물차도 총 20대 투입됐다. 가맹사업자가 소속 화물차를 중심으로 확보한 운휴차량은 총 237대가 운송에 참여했다. 컨테이너 운송을 위한 화물열차도 매일 46회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