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객수 지난해보다 27% 줄어 '흥행 참패'…태풍·김영란법 영향에 영화계 분란 겹쳐
부산국제영화제(BIFF)를 찾은 관객이 지난해보다 6만명 넘어 20만명에도 미치지 못하는 저조한 성과에 그치면서 위상이 추락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업계는 이같은 결과가 영화제 개최 전부터 예견된 일이었다고 분석했다.
부산영화제 사무국은 15일 제21회 부산국제영화제를 찾은 관객은 모두 16만5149명이라고 밝혔다. 지난해보다 27% 줄었다.
강수연 집행위원장은 태풍 '차바'와 '김영란법'을 관객이 급감한 이유로 꼽았다. 강 위원장은 "태풍으로 해운대 비프빌리지가 문을 닫아 유동인구 유입이 줄었다"며 "부정청탁금지법으로 위축된 분위기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영화 업계는 '다이빙벨' 사태를 언급했다. 다이빙벨을 두고 지난 2년여 동안 부산시와 겪은 갈등이 영화제 흥행 참패 주요 원인이라고 꼽았다.
지난 2014년 9월 당연직 조직위원장을 맡았던 서병수 부산시장은 세월호 구조문제를 다룬 다큐멘터리 '다이빙벨' 상영을 반대하면서 영화제 측과 마찰을 빚은 바 있다.
이후 감사원 감사, 서 시장의 조직위원장 자진사퇴, 이용관 집행위원장 검찰고발, 국내 영화계 9개 단체의 올해 영화제 보이콧, 정관개정 등 논란이 일었다.
결국 국내 영화계는 올해 영화제 참가를 보이콧했다. '자율성'과 '독립성'을 명기한 영화제 정관개정이 이뤄졌지만, 영화단체 9곳 중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전국영화산업노조는 끝내 보이콧을 거두지 않았다.
이 단체 소속 감독들이 영화제를 거부했다. 배우들 또한 독단으로 부산을 찾기는 어려워 지면서 올해 부산국제영화제는 내내 맥빠진 축제를 보여줬다.
올해는 부산영화제를 지원하는 기업 협찬도 줄었다. 지난해 현물을 포함해 53억원에 달하던 기업 협찬금은 올해 30% 가량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영화제 사무국은 예산이 줄면서 마린시티 '영화의거리'에서 열린 스타로드(레드카펫) 행사도 취소했다.
김영란법 시행도 흥행 실패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영상을 전공한 대학교수나 영상물등급위원회 등 공공기관 등급분류 업무 관계자 등은 올해 부산국제영화제에 초청을 받지 못했다.
국내 대표 영화 투자배급사들도 김영란법을 의식해 매년 영화제 기간에 배우, 감독 등을 초청하는 부대행사(파티)를 올해는 대부분 취소했다.
부산영화제 관계자는 "화제 안팎에서 많은 갈등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며 "내년 영화제를 잘 준비해 올해보다 더 나아진 모습으로 영화제를 열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올해 부산영화제는 지난 6일 개막했다. 69개국 영화 299편을 5개 극장 31개 관에서 상영했다. 지난해 75개국 304편과 비교해 다소 줄어든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