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실적 반영치에 기회손실 전망치 고려한 금액…내부 품질 점검 프로세스 전면 개편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사태로 입을 총 손실이 7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 사진=뉴스1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단종 사태로 입을 손실이 총 7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갤럭시노트7 사태에 따른 기회손실 전망치와 이미 3분기 실적에반 영한 금액까지 고려한 손해액이다. 


삼성전자는 14일 "갤럭시노트7 판매 중단으로 인해 올해 4분기부터 내년 1분기까지 판매 실기(失機)에 따른 기회손실이 3조원 중반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어 "갤럭시노트7 판매 중단으로 현재 추정되는 직접 비용은 3분기 실적에 모두 반영했지만, 올해 4분기와 내년 1분기까지도 갤럭시노트7 판매 실기에 따른 부정적 손익 영향이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갤럭시노트7 사태에 따른 기회손실 전망치가 삼성전자에서 공식적으로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전망한 향후 손실은 리콜 사태에 따른 직접 비용이 아니라 순수하게 '내년 1분기까지 판매할 것으로 예상했다가 판매하지 못하게 된' 기회비용만 추산한 것이다.

하지만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12일 3분기 잠정실적을 정정 공시하면서 영업이익을 7조8000억원에서 5조2000억원으로 수정했다.

지난달 1차 리콜 비용은 1조~1조5000억원이다. 추가 손실로 전망한 3조원대 중반을 모두 합치면 삼성전자가 이번에 입게 될 손실은 총 7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전체의 분기 영업이익 규모와 맞먹는다.

삼성전자는 이번 갤럭시노트7 논란을 계기로 향후 제품 안전성을 강화하기로 했다. 내부 품질 점검 프로세스를 전면 개편하는 등 안전한 제품을 공급하는 데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발화 원인 규명을 마무리하는 대로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무선사업부부터 시작해 전면적인 절차 개편 작업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갤럭시노트7 공백에 따른 실적 약세를 갤럭시S7과 S7엣지 등 기존 제품 판매 확대를 통해 정상화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