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철 상근부회장 불성실 답변에 야당 폭발…자진 해산 촉구 결의안까지 발의

이승철 전경련 상근부회장이 1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기획재정부 국정감사에 일반증인으로 출석했다. 그는 현재 미르·K스포츠단 의혹과 관련한 의혹의 중심에 서있다. / 사진=뉴스1

 

​미르·K스포츠재단 의혹과 관련해 대기업 모금 창구 역할 의혹을 받고 있는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대한 비난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야당은 자진 해산을 거세게 압박하고 있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3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이승철 전경련 상근부회장의 국회 답변 태도를 지적하며 "저런 전경련 모습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것이 더민주의 공식입장"이라고 밝혔다. 

 

이 부회장이 전날 기획재정위원회의 기획재정부 국정감사에서 의원들 질의에 '검찰 수사 중인 사안이라 답할 수 없다'는 답변을 반복한 데 따른 분노이다.  

 

우 원내대표는 "어제 태도를 봐서는 전경련이 기존에 해왔던 행위를 개선하고 개혁하겠다는 취지 발언이 거의 없었다"며 "반성도 없이 오로지 정권에 피해가 갈 진술을 철저히 거부한 정권 들러리로서 상근부회장 모습만 보여줬다"고 맹비난했다.

 

그는 "경제단체로서 순기능을 발휘하지 않고 정권이 시키는 일만 대행하는 대행업체로 전락한 전경련 모습은 그대로 놔둘 수 없다"며 "해체에 준하는 개혁 수순을 밟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 원내대표는 허창수 전경련 회장(GS그룹 회장)이 직접 나서라고 촉구했다. 그는 "더 이상 상근부회장 농단에 이용당하지 말고 전경련 개혁에 직접 나서 주기 바란다.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전경련 회장은 비상근직으로 사실상 얼굴 마담에 가까운 역할을 한다. 전경련 상근부회장이 사무국을 총괄하며 사실상 전경련 살림을 도맡아 하는 구조다. 

 

김관영 국민의당 원내수석부대표도 이날 원내정책회의에서 "기업 발목을 비틀어 수백억 원을 모금해 정체불명 재단에 보내줬던 전경련의 존재 이유는 이제 없다"며 "청와대를 등에 업은 심부름꾼에 불과한 전경련은 당장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원내수석은 "이제 전경련은 유통기한이 끝났다. 하자 있는 제품"이라며 "국민의당은 전경련 해체를 위해 가능한 당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 야당 내에선 전경련 해체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언주 더민주 의원은 12일 '전경련 자발적 해체 촉구 결의안'을 대표발의했다. 이 의원은 "서민과 중소상공인은 외면한 채 특정 대기업의 이익만을 대변하고 정경유착 창구로 자리 잡은 전경련은 자발적으로 해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당 의원들도 자진해산 촉구 성명을 냈다.

 

공공기관의 전경련 탈퇴도 속도를 내고 있다. 전경련에 가입했던 19개 공공기관 중 한국전력·인천공항공사 등 9곳은 최근 탈퇴 처리가 완료됐다. 세종문화회관도 11일 탈퇴 신청을 했고, 산업은행 등 3개 국책은행도 탈퇴를 검토 중이다.

 

경제개혁연대는 13일 논평을 통해 전경련이 회비 내역에 대해 대외비라며 공개를 거부하고 있는 것에 대해 "재무정보 투명성 확보는 기업경영의 기본 중 기본"이라며 "재계 대표 자격이 없다"고 맹비난했다.

 

이어 "스스로 관련 자료를 공개할 것을 촉구하며 만약 그렇게 할 의지와 능력이 없다면 신뢰 회복은 불가능하므로 해산 외에는 다른 길이 없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