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상반기 물가 2.0% 상승 전망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사진-뉴스1

지난 7~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기 대비)이 낮은 이유는 전기료 누진제가 한시적으로 완화됐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최근의 물가안정목표제 운영상황 설명'에 따르면 3분기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상반기에 비해 0.1%포인트 낮아진 0.8%를 기록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13일 물가안정목표제 운영상황 설명회를 열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은의 중기 물가안정목표인 2%에 미달한 원인과 전망을 설명했다.

이 총재는 "누진제 조정으로 전기, 수도 가격이 큰폭으로 하락하면서 물가안정목표인 2%와 괴리가 상반기(0.9%)에 비해 확대됐다"고 전했다.

이 기간 농산물 및 석유류, 또는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지수도 7~9월 중 각각 1.3%, 1.7% 상승해 상반기에 비해 상승폭이 둔화됐다. 이같은 물가 흐름은 하반기 들어 상승률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봤던 종전 전망과는 다른 방향이다.

7~9월 중 소비자물가 품목별 동향을 보면 석유류(도시가스 포함)가격은 여전히 두 자릿수 하락세를 지속했지만 상반기에 비해선 하락폭이 축소됐다. 전기·수도 가격은 상반기보다 큰폭으로 내렸다. 반면 농축수산물은 오름세가 확대돼 전기료 인하의 물가하락 효과를 일정부분 상쇄했다.

올 3분기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는 전년 동기에 비해 13%정도 낮은 수준이었지만 상반기(35% 하락)보다는 하락폭이 축소됐다.

한은은 올해 말 경 물가 상승률이 1%대 중반에 이르고 내년 상반기 중에는 물가목표 수준인 2%에 근접할 것으로 봤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기료의 한시 인하 효과가 소멸되고 국제유가가 물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점차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