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나노 핀펫 공정 적용해 전력효율 향상

14나노 핀펫 공정을 업계최초로 적용한 삼성전자의 웨어러블 전용 AP. /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사태가 사상 최악의 사태로 흘러가는 상황 속에서도 고성능 웨어러블 전용 AP(컴퓨터 CPU와 같은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를 내놨다.


삼성전자는 14나노 핀펫 공정을 적용한 웨어러블 전용 AP 엑시노스 7270을 양산하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삼성전자의 이번 제품 개발은 프리미엄 모바일 AP에 적용되던 고성능‧저전력 14나노 첨단 공정 활용 범위를 올해 초 보급형까지 확장한 데 이어 업계최초로 웨어러블 전용 AP에 적용시켰다는데 의미가 있다.

엑시노스 7270은 14나노 공정 적용으로 기존 28나노 기반 제품 대비 동작 전력 효율이 20% 이상 향상됐다. ‘나노’는 쉽게 말해 칩에 적용된 회로 굵기를 의미하는데 숫자가 적을수록 전력소모가 적다. 이번 14나노 제품 적용을 통해 웨어러블 기기 사용자들은 한 번 충전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웨어러블 대중화를 위해 극복해야할 주요 문제 중 하나가 충전문제였던 만큼 엑시노트7270은 향후 웨어러블 기기를 개발하는데 주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제품엔 또 와이파이, 블루투스, FM 라디오, 글로벌 위성항법장치(GNSS) 등 다양한 연결 기능까지 하나의 칩에 통합해 단독으로도 통신망을 이용한 편의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 웨어러블 기기 제조사들이 보다 다양한 기능 및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게 했다.

허국 삼성전자 시스템LSI 사업부 전략마케팅팀 상무는 "이번 제품은 저전력 공정과 모뎀·커넥티비티 통합, 혁신적인 패키지 기술을 바탕으로 웨어러블 전용 SOC(여러 반도체 부품 및 기능이 하나로 구현된 칩)의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제품”이라며 “기기 사용시간을 늘리고 슬림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게 해 웨어러블 대중화에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