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업계 등 촉구…산업부 비상대책반 구성
석유화학, 철강, 시멘트, 석탄 등 업계 관계자들이 화물연대에 대해 집단운송거부를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 돌입에 따른 대책회의를 열었다. 이날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한국석유화학협회, 한국철강협회, 한국시멘트협회, 대한석탄협회, 한국철도물류협회, 한국기계산업진흥회 등 관련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석유화학, 철강, 시멘트, 석탄 등 취약업종에 대한 영향을 점검하고, 각 업종별 비상운송대책을 논의했다.
국내 화물차량 3.2%(43만대 중 1.4만대), 컨테이너 차량 32% (22천대 중 7천대)를 화물연대가 차지한다. 이에 산업부 관계자는 “주요 수출품목 가운데 석유화학, 자동차부품, 일반기계 등에서 화물연대 소속 차량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아 파업의 영향을 일부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업계 참석자들은 “철도파업에 편승한 금번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는 아무런 명분도 없다. 화물연대는 집단운송거부를 즉각 철회하고 조속한 운송 복귀를 촉구한다”며 정부에게는 “불법 파업행위에 엄정 대처할 것”을 요구했다.
회의를 주재한 산업통상자원부 정만기 차관은 “화물연대 파업에 따른 물류차질은 최근 회복세를 보이는 우리 수출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면서 “자동차 파업, 철도파업으로 가뜩이나 힘든 상황에서도 최근 유가반등 추세에 따른 석유화학의 수출 호조세에 발목을 잡는 행위이므로 이번 사태가 조속히 종결되어야 한다”고 했다.
산업부는 비상대책반을 구성해 비상근무에 돌입하고, 상시 비상연락망을 유지하면서 업계 피해상황 등을 파악하고 있다. 무역협회, 대한상공회의소, 시멘트협회 등 유관기관도 상황 종료시까지 비상 대응체제를 구축해서 운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