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복구 지원단 315명과 장비 146대 파견 등…추가 지원책 관계 기관과 협의
정부가 태풍 피해지역 복구 지원에 나선다. 정부는 피해지역 복구를 위한 인력·장비 파견과 수도요금 인하, 침수 주택 수리비 지원책 등을 마련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소속지방청 및 수자원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도로공사 등 산하 기관과 함께 태풍 ‘치바’ 피해지역인 울산‧부산‧양산 등에 복구장비 및 구호물품 등 수해복구비를 긴급 지원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강호인 국토부 장관은 “태풍 치바로 큰 피해가 발생한 울산, 부산 등 피해지역 시민들에게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가용한 수단과 자원을 총 동원해서 피해를 최대한 신속히 복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국토부는 피해복구를 위한 지원단을 태풍 피해지역에 파견했다. 국토부 공직자, 산하기관 임직원, 자원봉사자 등 현장복구인력 315명과 주택‧하천 안전점검분야 등 전문기술단 32명이 현장에 파견됐다.
지원단은 ▲울산 태화종합시장 ▲창원 용원시장 ▲경주 두산소하천 ▲양산 상북면 소토리 ▲포한 오천읍 일대 등 태풍 피해가 집중된 지역에서 현장 수습과 피해원인을 면밀히 분석하고 있다.
소속 지방청과 수자원공사 등 산하기관은 양수기, 덤프트럭 등 복구장비 146대를 피해현장 배수 및 위생작업에 활용하도록 지원했다.
국토부는 피해지역 지원차 수도요금 인하도 검토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큰 피해를 입은 태화강, 양산천의 하천시설물 긴급복구를 위해 조사 결과에 따라 수해복구비를 신속히 집행할 계획”이라며 “복구 및 청소에 많은 물이 이용되는 점을 감안해 수도요금 인하도 관련 기관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태풍 피해를 입은 주택도 지원한다. 국토부는 파손‧침수된 주택의 복구비용 일부를 주택도시기금을 활용한 장기저리 융자(금리 2.5%, 만기 20년)와 국비보조로 지원할 계획이다. 9일 현재까지 국토부가 파악한 주택피해 현황은 파손 123동, 침수 1780동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관계자는 “10월 9일 현재 주택피해를 감안할 때 620억원의 주택도시기금을 통한 주택복구비 예산은 충분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태풍으로 보금자리를 잃은 주민들은 임대주택을 임시 거처로 지원받을 수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울산시 일대 임대주택 50가구를 임시 주거용으로 확보한 상태다. 태풍으로 피해를 입은 주민은 10일부터 지자체를 통해 임대주택 임대 신청을 할 수 있다.
강호인 국토부 장관은 “이번 태풍을 우리의 수해 방어능력을 되돌아보는 계기로 삼겠다”며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도시하천의 종합침수대책을 마련하는 등 항구적인 수해대응력 향상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