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걸 "한진 대주주의 해결 의지 없었다"…조양호 "현대상선 이상 노력했다"
4일 한국산업은행 국정감사에서 증인들은 한진해운 법정관리와 물류대란에 대한 책임 소재에 대해 다른 답변을 내놨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한진해운 법정관리 원인에 대해 한진해운 대주주의 소극적 자세를 꼽았다.
이 회장은 "현재 한진해운은 6500억원의 외상채무를 지고 있다"며 "자율협약 기간을 한달 연장도 했다. 그러나 한진 측 외상채무 해결책은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한진해운은 대주주가 내 팔을 하나 자르겠다는 결단이 없었다. 이런 경우 누가 돈을 빌려주겠느냐"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현대상선은 현대증권을 매각해 1조2000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했다. 한진해운의 경우 이 같은 오너의 결단이 없었다"고 말했다.
국회 정무위 소속 이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진해운을 살리기 위해 정말 최선을 다했는지 의문"이라며 "한진해운은 현대상선보다 규모에서 우위다. 대마불사로 살아남을 거라 생각하고 채권단 협상에서 적극적으로 임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에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대한항공은 한진해운을 살리려 노력했다. 한진해운 인수 당시 에쓰오일 지분을 매각하는 등 2조원 가량을 한진해운에 투입했다"며 "그러나 외국선사들이 막대한 정부 지원으로 저가 공세에 나섰다. 대한항공 부채비율도 높아졌다. 사재도 출연했다"고 말했다.
조 회장은 "한진그룹의 자체적 투자는 한계에 왔다고 봤다"며 "그래서 정부에 지원을 요청했으나 실패했다"고 덧붙였다.
국회 정무위 소속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조양호 회장은 400억원 사재를 출연하겠다 했다. 이는 조 회장 재산의 20%다. 이를 내고 충분하다며 나머지는 정부와 법원이 알아서 하라는 식이다. 천문학적 지원 받은 국적 해운사 오너가 과연 국민들에게 할 말인가"라고 말했다.
국회 정무위 소속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진해운이 법정관리 돌입시 채권단 손실도 크다며 산업은행을 협박했다고 밝혔다.
박용진 의원은 "지난 6월 한진해운은 공문을 통해 산업은행에 '유동성 지원이 없으면 법정관리를 신청할 수밖에 없다. 모든 채권자가 상당한 손실을 볼 것'이라고 했다"고 말했다.
이에 석태수 한진해운 사장은 "협박성 취지가 아니다. 한진해운 자금사정이 그만큼 절박하기 때문에 꼭 지원해달라는 취지였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