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매입규모 대폭 축소 희망…이달 중순 보존등기 완료 후 논의 본격화할 듯

인천 송도신도시 전경 / 사진=인천경제자유구역청

 

인천 송도캠퍼스 부지 매입을 두고 신경전을 벌여온 인천시 산하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인하대가 이달 중순부터 토지 계약규모에 대한 논의를 본격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인하대는 언론을 통해서만 부지 축소 매입 의사를 내비쳤지만 인천경제청에 공식적으로 요청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인천경제청이 계약 원안을 고수할지 인하대의 입장을 수용할 것인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된다.

4일 인천경제청 관계자에 따르면, 바다를 매립해 조성한 송도신도시 11-1공구 내 인하대 송도캠퍼스 예정부지 22만4700㎡는 늦어도 이달 중순이면 보존등기 업무까지 마무리 된다. 이후 인천경제청은 인하대와 기존에 체결한 토지 매매 계약서에 해당 부지의 지번(인천시 연수구 송도동 540번지)을 써넣고 매각 금액을 수령하면 된다. 지금까지는 매각금액 1077억원 가운데 476억원을 받은 상태이므로, 나머지 땅값 600억원은 내년부터 5년간 매년 4월과 10월에 60억원씩 나눠 받으면 된다.

다만 인하대가 계약부지 전체를 매입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며 최근 들어 해당 계약에 균열 조짐이 보였다. 반값등록금 열풍이 거세게 일면서 10년 가까이 등록금 인상을 하지 못했고, 학령인구는 계속해서 줄어 대규모 캠퍼스 투자에 대한 거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송도신도시가 초창기 송도 캠퍼스 부지를 매입할 당시 청사진과는 다르게 전개되는 것도 투자에 발목을 잡는 이유로 꼽힌다. 송도신도시 개발 초기만 해도 10여개의 글로벌대학 유치가 거론됐지만 현재는 뉴욕주립대를 비롯해 4개의 학교가 정원을 채우지 못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하대는 보존등기가 나오는 이달 중순 인천경제청에 계약규모 중 40%인 약 10만㎡만 사겠다는 의사를 전달할 계획이다. 인하대학교 관계자는 “재정 파탄 초래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인천경제청에 이달 중순 경 부분매입 의사를 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하대의 이번 요청으로 경제청의 고민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인천경제청은 ‘인하대 측의 공식적인 요청이 없었으므로 부분 매도는 검토할 사항이 아니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하지만 인하대가 입장을 공식화하고 나면 기업도 아닌 지역사회의 거점대학과의 관계를 경제적 논리대로만 판단하기엔 부담이 적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매수자를 구하는 절차 등을 처음부터 또다시 진행하는 것도 만만치 않다. 이에 대해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아직은 인하대가 공식입장을 전하지 않은 만큼 우리도 입장을 밝힐 때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