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원양자원 주가조작 의혹 …"상장요건 강화·업체 투명성 입증해야"

중국원양자원이 주가 조작 등 불공정 거래 의혹으로 금융 당국 조사를 받으면서 국내 상장한 중국 기업에 대한 신뢰성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특히 최근 6년 동안 7개 중국 기업이 각종 문제로 상장 폐지를 하면서 피해를 입는 투자자가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해외 기업의 국내 상장 요건을 강화하고 해외 기업 스스로도 투명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진단한다.

허위공시로 물의를 빚었던 중국원양자원이 이번에는 주가 조작 혐의를 입었다. 26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 자본시장조사국은 최근 한국거래소로부터 관련 자료를 넘겨받고 중국원양자원의 허위 공시 등과 관련한 제반 내용을 검토하고 있다.

당초 금감원 기업공시국이 중국원양자원의 허위 공시와 관련한 내용을 검토했다. 하지만 최근 담당국이 자본시장조사국으로 변경됐다. 자본시장 조사국읔 주가조작이나 내부자 정보 이용 등의 불공정거래 행위를 살피는 곳이다. 업계에서는 중국원양자원에 대한 금감원의 조사 범위가 단순한 허위 공시 차원을 넘어 주가조작 의혹 등으로 확대된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중국원양자원은 지난 4월 홍콩 업체로부터 대여금과 이자 74억원을 갚지 못해 소송을 당했고 계열사 지분 30%가 가압류됐다고 공시했다. 하지만 이는 허위로 판명됐고 거래소는 7월 과태료를 부과하고 관리 종목으로 지정했다. 중국원양자원 소액 투자자들은 허위 공시가 저가에 지분을 확보하려는 장화리 중국원양자원 대표의 의도라 보고 있다.

이 같은 사태로 중국원양자원 투자자들은 예상치 못한 손실을 보게 됐다. 중국원양자원 주가는 연초 3000원대였지만 거래 정지 이후 1000원대로 주가가 폭락했다. 시장 신뢰가 바닥난 까닭이다. 중국원양자원은 2014년 11월과 12월 어획량 증가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10배 이상 급등하기도 한 종목이었다.

문제는 중국 기업 탓에 불거진 투자자 손실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점이다. 2011년에 상장한 중국고섬공고유한공사는 1000억원대 분식회계로 2013년 상장폐지 됐다. 2007년 상장한 평산차업집단은 주가 관리에 실패해 시가총액 미달로 국내 시장에서 퇴출됐다. 2008년 상장해 2012년 상장 폐지된 연합과기는 회계 불투명성에 대한 우려로 인해 감사의견 거절을 받았다.

기업 공개 불투명성뿐만 아니라 ‘먹튀’ 문제도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2009년 상장해 2013년 자진 상장 폐지한 중국식품포장은 당시 우량주로 평가받으며 다른 상장 중국 기업과 차별화 된다는 평가가 있었다. 2010년 주가는 공모가보다 157.33%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중국식품포장은 시장에서 제대로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며 자진 상장폐지를 결정했고 일각에선 ‘먹튀’가 아니냐는 논란도 일었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국내 상장한 중국 기업에 대해 “전자공시를 한국어로 하고는 있지만 문제는 이 내용을 믿을 수 없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도 중국 기업에 대한 분석보다는 투기성으로 접근하고 있는 측면이 크다”며 “세계화를 내세운다고 상장을 쉽게 허용한 것이 오히려 세계화에 역행하는 결과를 낳았다. 국내 상장 요건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중국 기업이 스스로도 회계와 공시 투명성을 높여 제대로 된 기업 가치를 입증해야 한다”고 밝혔다.

 

허위공시 등으로 인해 국내 증권 시장에 상장한 중국 기업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고 있다. 사진은 중국원양자원이 어획물을 컨테이너를 통해 이동하고 있는 모습. / 사진=중국원양자원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