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인허가 물량 급증탓…국토부 “시장 변동성 관리할 것”

올들어 전국적으로 아파트 입주 예정 가구가 크게 늘었다. 이에 일부 지역에 국한된 역전세난이 수도권 전역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부상하고 있다. 국토부는 8.25 부동산 대책으로 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2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아파트 총 입주 예정 물량은 31만4880가구다. 지난 5년 간(2011~2015년) 평균 준공‧입주 물량인 24만1586가구 대비 30.3% 증가했다.  

지난해와 비교해 수도권 아파트 가구가 크게 증가했다. 올해 수도권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10만7622가구로 전년(10만3569가구) 대비 27.7% 늘었다. 서울과 지방 입주 예정 물량은 같은 기간 각각 16.3%, 0.8% 증가했다.  

올해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이 전국적으로 늘어난 것은 2014년 인허가 물량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 입주가구는 건설사가 지자체에서 아파트 건설 인허가를 받고 2~3년 뒤부터 발생한다. 국토부에 따르면 당시 인허가 실적은 51만5251건으로 직전해(44만116가구) 대비 약 17.1% 증가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당시(2014년)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투자자들의 아파트 수요가 높아졌다. 이에 건설사 아파트 인허가 물량이 늘었다. 이들 물량이 올해 들어 입주 가구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아파트 입주물량 증가로 수도권 지역 아파트 역전세난에 대한 우려도 고개를 들고 있다. 올해 들어 서울시 송파‧강동구는 전세수요가 줄고 있다. 이에 일부 단지들은 지난해와 비교해 전세가격이 2000~3000만원 가량 하락하기도 했다. 이는 인접지역인 경기도 하남 미사지구‧위례신도시 아파트 입주가구가 예년 대비 증가했기 때문이다. 지역별로 입주가구 증가폭이 가장 큰 수도권 지역 아파트 역전세난이 우려되는 대목이다.

국토부는 8.25 부동산 대책으로 주택시장 변동성을 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부는 8.25대책에서 택지지구 공급축소 등을 통해 주택공급 물량조절을 계획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8.25일 정부에서 발표한 주택 관련 대책의 후속조치를 철저히 이행하겠다. (아파트) 공급물량 증가에 따른 주택시장 변동성 확대로 발생하는 부작용을 막기 위한 조치”라며 “주택공급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지역별 입주 예정 아파트 현황


10월부터 12월까지 전국 입주 예정 아파트는 총 9만597가구다. 3개월 간 지역별로 수도권 3만8879가구, 지방 5만1718가구가 각각 입주한다. 입주물량 가구수는 일반물량에 더해 조합물량을 합산한 수치다.

지역별 세부 입주물량은 다음과 같다. 수도권은 10월 광주 역동 e편한세상 광주역 (1~6블록) 2122가구, 부천 옥길 A1 국민‧영구임대 1454가구 등 6612가구 등 총 6612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11월에는 왕십리뉴타운 센트라스 1‧2차 2529가구, 안양 덕천 1블록 임대아파트 4250가구 등 총 1만5567가구, 12월에는 서울 성동구 e편한세상 옥수 파크힐스 1976가구, 양주 신도시 푸르지오 A9 1862가구 등 총 1만6700가구가 집들이 한다. 지방은 10월 1만4481가구, 11월 1만7842가구, 12월 1만9395가구가 입주 예정이다.

주택 규모별 입주 예정 가구는 ▲60㎡ 이하 3만5399가구 ▲60~85㎡ 4만7917가구 ▲85㎡ 초과 7281가구로 나타났다. 85㎡ 이하 중소형 주택이 전체 입주 예정 가구의 92%를 차지했다. 주택 공급 주체별로 민간주택 6만8006가구, 공공주택 2만2591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전국 입주 예정 아파트 현황 / 자료=국토교통부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