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금리 인상시 한국내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불가피…한은이 금리 올리기에는 경기 상황 '부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9일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 사진=뉴스1
미국과 일본이 금리를 결정하는 통화정책일이 다가오고 있다. 한국은행은 선진국들의 금리 정책에 따라 10월 금통위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지 고심하는 모습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와 일본은행(BOJ)은 오는 20~21일(현지시간) 각각 FOMC 정례회의와 금융정책결정회의를 개최한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8일 한은 본관에서 주재한 간부 회의에서 미국 FOMC에 대비해 금융시장을 점검하고 긴장을 놓지 말라고 주문했다.

한은에 따르면 추석 연휴기간 중 국제금융시장은 미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변화에 영향을 받으며 가격변수가 높은 변동성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미 달러화는 강세, 장기금리와 주가는 하락 움직임을 나타냈다.

이 총재가 추석 연휴 마지막 날이자 일요일인 18일 회의를 개최한 것은 미국과 일본의 통화정책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크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시장에 따르면 연준은 오는 12월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커 보인다. 그러나 9월 금리 인상안도 배제할 수 없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 16일(현지시간)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한 달 전보다 0.2%상승했다고 발표했다. CPI 상승률은 금융시장 예상치인 0.1%보다 높은 수치로 연준이 금리를 올릴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만약 연준이 연0.25~0.5%인 정책금리를 올리면 한국과 내외 금리차가 좁혀지게 된다. 이 경우 금리차이를 노려 그동안 국내 증권시장에 투자했던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이 대거 빠져나갈 수 있다.

이 총재는 지난 9일 금통위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미국 금리 인상은 달러화 강세와 신흥시장국으로부터 자금 유출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우리나라 기준금리 실효 하한을 높일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현재 국내 경기가 부진한 상황에서 기준 금리를 올리는 것은 무리가 있다. 그러나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경우 한국도 장기적으로 금리를 다시 인상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이웃 나라인 일본의 통화정책도 주시해야 한다. 금융시장에 따르면 일본은행이 이번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추가 완화적 통화정책을 내놓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마이너스 금리로 인한 부작용이 꾸준히 거론되는 상황에서 한국 역시 장기간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지는 못할 것으로 평가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