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점검 위해 전문가 624명 파견해 안전점검 실시
경북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1, 5.8 지진으로 인한 기반시설 피해는 현재까지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주요시설물 추가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중앙사고수습본부는 현재까지 이번 지진에 의한 도로, 철도, 항공, 수자원(댐‧하천) 등 기반시설 피해보고는 들어오지 않았다고 13일 밝혔다.
국토부는 주요 사회간접자본(SOC)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국토부는 지역별 도로, 철도, 항공, 수자원 등 각 분야별로 국토관리청‧항공청 및 공공기관 전문가 624명을 파견했다. 이들은 현장에서 긴급 안전점검과 여진 등에 대비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12일부터 정부세종청사에 ‘경주 지진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국토부는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지진재난 위기대응메뉴얼’에 따라 운영하고 있다. 중앙수습본부에는 강호인 국토부 장관이 본부장으로 도로‧철도‧항공‧도시‧수자원‧주택건축 등 8개 분야 35명이 소속됐다.
국토부는 지진 진원지인 경주와 인근 지역인 울산‧포항시청에 안전3개팀(12명)을 파견한 상태다. 안전팀 인원들은 안전점검 등을 지원하고 있다.
도로 분야는 부산지방국토관리청 도로국 50명, 도로 공사 93명이 교량, 터널 등 도로시설물을 점검하고 있다. 철도 분야는 철도공사 70명, 철도공단 10명이 철도시설물과 철도건설현장에서 선로, 전차선을 점검 중이다.
항공 분야는 지방항공청 60명, 한국공항공사 92명이 터미널, 활주로, 관제탑 등 공항 시설물 이상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수자원 분야는 하천국 43명, 수자원 공사 206명 등이 댐‧보 등 하천시설물을 점검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