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소 사장 그룹 차원 배임·횡령 의혹 관여한 단서 포착
롯데그룹 총수 비리를 겨냥한 수사가 탄력을 받게 됐다.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5일 소진세 그룹 정책본부 대외협력단장(사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다고 4일 밝혔다.소 사장은 이인원 정책본부장(부회장), 황각규 정책본부 운영실장(사장) 등과 함께 신동빈 회장의 최측근으로 꼽힌다. 검찰은 참고인 조사 과정에서 소 사장이 그룹 차원의 배임·횡령 의혹에 관여한 단서가 드러나자 소 사장을 피의자로 입건한 뒤 재소환하기로 결정했다. 소 사장은 지난달 15일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은 바 있다.수사팀은 소 사장이 코리아세븐 대표이사로 재직할 때 롯데피에스넷 유상증자에 참여한 경위와 이 과정에서 신 회장의 지시나 묵인이 있었는지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그룹 측은 롯데피에스넷의 손실 보전을 위해 2010∼2015년 사이 4차례에 걸쳐 총 36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시행했다. 수사팀은 이 같은 과정에서 그룹이 계열사들을 과도하게 동원해 손실을 안겼다고 의심 하고 있다.특히 검찰은 신동빈 회장을 조만간 조사하기에 앞서 소 사장을 상대로 총수 일가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집중 조사할 것으로 전해졌다.소 사장은 말단 사원부터 그룹사 간부를 거친 ‘롯데맨’이다. 1977년 롯데쇼핑으로 입사한 뒤 2014년 2월 롯데슈퍼와 코리아세븐을 아우르는 총괄 사장을 맡았다. 같은 해 8월 정책본부 대외협력단장으로 복귀했다.롯데그룹 위기 때마다 소 사장이 있었다. 부분 개장을 앞둔 제2 롯데월드의 각종 안전사고, 롯데홈쇼핑 비리 문제 등으로 그룹이 어려움에 빠지자 신 회장이 직접 그에게 그룹 이미지 개선, 홍보·대관 업무 강화 등의 중책을 맡겼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한편 검찰은 소 사장과 함께 황각규 사장도 이번 주 안에 재소환해 조사할 계획이다. 핵심 측근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되는 즉시 신 회장의 소환 일정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이르면 추석 연휴 직후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