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대한상의 518개 기업 조사…직무적합성 우선 54.9%로 학력·인턴경력 앞질러
기업들이 직원 채용 시 학력보다 직무능력을 우선하는 기업들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가 작을수록 이 같은 특징이 두드러졌다.
지난달 24일 고용노동부·대한상공회의소는 518개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채용관행 실태를 조사한 결과 '직무적합 자격사항'을 가장 중요하게 보는 응답이 54.9%였다고 밝혔다. 학력과 인턴경력은 각각 34.8%와 28.0%로 뒤를 이었다.
자격사항을 중요하게 본다는 응답을 업종별로 보면 건설업(65.2%), 제조업(63.7%), 숙박·음식업(69.7%)이 높았다.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기업(57.6%)에서 가장 많았다. 1000인 이상 기업의 경우 자격사항과 학력 응답 비율이 각각 43.8%로 같았다.
또 입사지원 시 기재를 요구하는 스펙은 항목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학력과 자격사항의 경우 올해 조사에서 각각 94%와 86.1%로 높았지만 지난해보다는 각각 2.8% 포인트, 5.0% 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공모전, 인턴경력 기재를 요구하는 기업은 올해 각각 31.5%와 60.6%로 지난해보다 각각 9.9% 포인트, 22.3% 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1000인 이상 기업에서 학점(85.4%) 외에도 어학점수(77.1%), 인턴경력(68.8%), 공모전(50.0%), 사회봉사(41.7%) 등 스펙 기재를 요구하는 경우가 높았다.
다만 입사지원 시 불필요한 인적사항을 요구하는 기업들은 지난해보다 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키, 몸무게, 혈액형 등은 지난해보다 10% 포인트 이상 감소했고 본적, 가족관계를 요구하는 기업도 줄었다. 특히 1000인 이상 기업에서 이 같이 불필요한 인적사항을 요구하는 비율이 낮았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기업에서 직무와 무관한 생년월일, 가족관계 등 인적사항을 요구하고 있었다.
신입 채용 방식으로 공개채용만 고집하는 기업은 줄고 수시채용을 병행하는 비율은 증가했다. 기업 규모가 클수록 공개채용만 운용하는 비율이 높았다. 다만 이 역시 감소 추세였다. 실제 1000인 이상 기업의 경우 공개채용으로만 신입사원을 뽑은 기업은 지난해 33.3%에서 올해 29.2%로 감소했다.
기업 대상 직무능력 중심 채용컨설팅을 하고 있는 박종갑 대한상의 공공사업본부장은 "스펙이 아닌 직무능력으로 직원을 선발한 기업에서 신입직원 업무성과 향상은 물론 채용 후 조기 이직률을 낮추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느끼고 있다"고 전했다.